SNS서 "관세가 경제 성과 만드는 중"
'상호관세 예정' 다음달 2일에 대해선
"美 해방일"···수차례 금리 개입 의지
연준 파월 "관세發 인플레는 일시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간) 기준금리를 동결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향해 금리를 내리라고 또 다시 압력을 넣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고 “미국의 관세가 경제에 소기의 성과를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며 “연준은 금리를 내리는 것이 훨씬 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준은) 옳은 일을 하라”며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4월 2일은 미국의 해방일”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9월 ‘빅컷(0.5%포인트 금리 인하)’을 시작으로 11월과 12월 0.25%포인트씩 연속 3개월 기준금리를 내리던 연준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올 1월부터는 관세 효과를 보고 금리를 인하하겠다며 계속 동결 행보를 보이자 불만을 표시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동결했을 때에도 SNS에서 “연준은 자신들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으로 만든 문제를 멈추게 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이 연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은 미국의 전통적 관례이나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금리 결정에 개입할 의사를 수 차례 드러냈다.
연준은 또 올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 전망치를 종전 2.5%에서 2.7%로, 내년 전망치는 2.1%에서 2.2%로 각각 상향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2.5%에서 2.8%로 올렸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