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소득 감소 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 9.5% 순
서울 용산구 한 분식점에서 주문한 라면과 김밥. 김경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1.5%가 “가계경제 상황이 1년 전에 비해 악화됐다”고 답했다. 반면 ‘개선됐다’는 의견은 28.5%에 그쳤다.
가계 경제 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경제적으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가 ‘물가상승’이었다. 이 응답률은 71.9%로 집계됐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순이다.
최근 1년간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느끼는 부문은 ‘식료품 및 외식비’(72%)다. 이어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등으로 조사됐다. 가장 부담되는 지출항목도 '식료품 및 외식비'라는 응답이 54.1%로 집계됐다. 또 일자리 안정성(또는 사업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43.1%에 달했다. ‘안정적’은 26.5%, ‘보통’은 30.4%다.
응답자들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물가 분야에서 ‘생필품 가격 안정화 조치’(58.4%) ▲일자리 분야에서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가계부채 분야에서 ‘가계부채 증가 요인(주거비, 교육비, 의료비) 해소 정책 강화’(41.4%)를 각각 꼽았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