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인공지능 윤리 논쟁

유니스트- GISTeR, AI의 윤리적 문제 사회 영향 논한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월 2일 유니스트에서 'AI, 편견을 넘다' 출간 기념 북콘서트
안현실 유니스트 부총장 "AI 혁신의 핵심은 다양성"
이혜숙 GISTeR 소장 AI의 젠더 편향 사례 해법 제시


유니스트 AI UNIST·GISTeR 북콘서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유니스트(UNIST·총장 박종래)와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GISTeR, 소장 이혜숙)는 오는 4월 2일 유니스트 지관서가에서 'AI, 편견을 넘다' 출간 기념 북콘서트를 공동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 자리는 인공지능(AI) 기술의 편향을 완화하고, 포용적 기술 개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후원으로 개최되며 울산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행사는 심재영 유니스트 인공지능대학원장이 사회를 맡고, 책 저자인 안현실 유니스트 연구부총장, 권오성 마이크로소프트 이노베이션 허브 총괄 상무, 조원영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W기반정책·인재연구실장, 이혜숙 GISTeR 소장이 발표자로 나선다.

이들은 AI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을 다루며, 포용적 기술 발전을 위한 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권오성 상무는 생성형 AI가 교육, 고용, 일상에서 장벽을 허물 수 있는 기회임을 강조한다. AI가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용적 설계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이를 위해 접근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을 촉구한다.

조원영 실장은 AI가 사회의 다양성을 촉진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조 실장은 기술 성능과 포용성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인공지능 혁신의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특히 AI 기술이 사회 전반에서 공정하고 포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전한다.

안현실 부총장은 AI 혁신의 핵심이 다양성에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기술 대전환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변화와 충돌을 수용하고, 새로운 혁신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는 통찰을 제시한다.

이혜숙 소장은 AI의 젠더 편향 사례를 들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소개한다. 인간 중심 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AI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는 기술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한다.

저자 발표 후에는 청중과의 질의응답, 토론, 저자 사인회와 네트워킹 시간이 마련돼 참석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고 소통할 수 있다.

행사 참가 신청은 오는 31일 오후 6시까지며, 포스터 QR코드를 통해 선착순 60명까지 가능하다.

안현실 부총장은 “이번 북콘서트에서 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조망할 것”이라며 “유니스트와 와 GISTeR가 공정하고 포용적인 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뗄 것이다”라고 말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