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각 의대에 대규모 승인 반려 당부 공문
대학들 등록 마지노선 제시하며 강경 방침 밝혀
'강대강' 분위기 속 의대생 복귀 분위기 미형성
모호한 '전원복귀'…일부 복학 시 총장 자율 결정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지난 17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에서 한 학생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2025.03.17. hwang@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의과대학 학생들의 '전원 복귀' 분위기가 감지되지 않으면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총장 자율 결정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교육부가 앞서 의대생들이 전원 돌아오지 않을 경우 내년 의대 모집인원을 2000명 증원인 5058명으로 하겠다고 밝혔지만, 총장 자율로 정할 경우 정부 방침이 다시 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19일 교육당국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18일 각 의대에 대규모 휴학을 승인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각 대학들도 휴학 반려 방침을 공식화하며 호응하고 있다.
연세대, 고려대는 이보다 빠른 21일을 등록 마지노선으로 정했다. 이 밖의 대학들도 연이어 동맹휴학 불가 방침을 밝히고 있다. 전북대 의대의 경우 지난 17일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를 18일까지 모두 반려하기로 했다.
학교와 학생들이 강대강으로 부딪히면서 의대생들의 대규모 제적 사태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 학생 복귀 및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3.07. dahora83@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교육부가 말하는 '전원'에 대한 정의는 모호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원 복귀가 1명도 남김 없이 전부 돌아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지금 단계에서 말하기 어렵고 나중에 판단을 해야 할 것 같다"고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수업이 가능한 수준" 정도의 막연한 범위만 제시한 상태다.
'전원'이 아닌 '일부' 학생들이 복귀하면, 내년 모집인원 총대는 사실상 총장들이 매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에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수급추계위가 결정하지 못하면 각 대학 총장이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한 부칙은 빠졌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장을 맡고 있는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이번에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경우 내년 모집인원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남은경 경실련 사회정책팀장은 "정부가 정책적 판단을 해서 5058명이라고 결정했다면 끝까지 지켜야 한다"며 "코로나 당시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면서 끝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에 구급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2025.02.25. ks@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