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트럼프 "케네디암살 미공개 파일 삭제없이 18일 공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취임 직후 '미공개 문서 공개' 행정명령 후속 조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 사건 관련 미공개 파일을 18일(현지시간) 모두 공개하겠다고 17일 밝혔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NBC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의 대표적 문화·예술 공연장인 케네디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는 내일 모든 케네디 파일을 공개할 것"이라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지휘하는 여러 사람에게 그렇게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엄청난 양의 문서를 갖고 있고 여러분은 많은 양의 자료를 읽어야 한다"며 "우리는 어떤 것도 삭제하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 나는 '그냥 삭제하지 말라'라고 말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요약본을 준비하느냐'는 물음에 "절대 안 한다. 나는 요약은 안 한다"면서 "당신이 직접 요약본을 쓰라. 8만페이지 정도다"라고 했다. 이어 "많은 이들이 수십년간 기다려왔다. 자료는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과 관련한 모든 문서를 공개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특히 이번 공개는 집권 2기 취임 이후인 지난 1월23일 행정명령을 통해 해당 기밀자료 공개를 지시한 것의 후속 조치다.

그동안 미국 사회에선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사건의 배후와 관련해 각종 음모론이 나돌기도 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케네디 전 대통령의 동생이자 자신의 집권 2기 행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일하는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의 부친인 로버트 F. 케네디 전 상원의원, 흑인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 등 1960년대에 암살된 2명 관련한 정부 기밀문서도 공개하도록 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은 1963년 11월22일 텍사스주 댈러스 시내에서 부인 재클린 케네디 여사와 카퍼레이드를 하던 중 미 해병 출신 리 하비 오스왈드의 총탄에 맞아 서거했다. 케네디 전 상원의원은 1968년 6월5일 팔레스타인 출신 이민자 시르한 시르한의 총에 맞아 목숨을 잃었고 킹 목사는 같은 해 4월4일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암살당했다.

이와 관련해 2023년 미 국립문서보관소는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기밀문서 검토를 마친 결과 99%에 달하는 기록이 이미 공개됐다고 밝힌 바 있지만, 미 연방수사국(FBI)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이후 해당 사건과 관련한 2400개의 새로운 기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고 CNN은 전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