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2 (수)

이슈 물가와 GDP

물가지수 둔화에 급락세 일시정지…화두는 여전히 관세[뉴욕마감]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밑돈 것으로 집계되면서 뉴욕증시 급락세가 멈췄다.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됐다는 판단에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2.36포인트(1.22%) 상승한 1만7648.45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지수인 S&P500 지수도 27.23포인트(0.49%) 오른 5599.30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82.55포인트(0.20%) 하락한 4만1350.93에 거래를 마쳤다.

2월 CPI 상승률이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그동안 시장을 짓눌렀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 기술주를 중심으로 유입된 저가매수세가 시장 급락 흐름을 끊어냈다는 분석이다.

이날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2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하면서 인베스팅닷컴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2.9%)와 전달 수치(3%)를 모두 밑돌았다. 전달 대비 상승률도 0.2%에 그치면서 전문가 예상치(0.3%)와 전월치(0.5%)를 모두 밑돌았다.

최근 소비자 설문조사 등에서 인플레이션 전망이 커졌던 것과 달리 실제 지표는 둔화세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시장이 물가 우려를 덜어낸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 통신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전날부터 이틀 동안 미국의 성인남녀 14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 ±3%포인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70%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식료품과 기타 일상 비용 등 미국 내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낙폭이 컸던 기술주의 반등세가 두드러졌다. 테슬라가 7.5% 급등했고 엔비디아도 6.4% 상승을 기록했다. 메타(2.2%), 알파벳(1.8%), 아마존닷컴(1.1%), 마이크로소프트(0.7%)도 강세를 보였다.

시장의 화두는 여전히 관세와 경기침체 우려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0시 1분(미 동부시간 기준) 부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유럽연합(EU)은 이에 맞서 26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4월부터 미국산 철강·알루미늄은 물론 섬유·가전·농수산물 등에도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AXS 인베스트먼트의 그레그 바숙 CEO(최고경영자)는 "월스트리트(금융권)와 메인스트리트(산업계) 모두 여전히 방향성을 찾고 있는 중"이라며 "3월 상당 기간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