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마 가즈오 전 BOJ 통화정책 이사 인터뷰
"6월 또는 9월 이후"…5·7월엔 선 그어
일본 도쿄에 위치한 일본은행(BOJ) 본관 전경. 모마 가즈오 전 일본은행(BOJ) 통화정책 이사가 11일 미국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6월 인상설을 제기했다./AP통신·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장에서 일본의 5월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모마 가즈오 전 일본은행(BOJ) 통화정책 이사가 11일(현지시간) 미국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6월 인상설을 제기했다.·
모마 가즈오 전 BOJ 통화정책 담당 이사는 "제가 생각하는 가장 기본적인 시나리오에서는 6월이 가장 유력한 선택지"라며 "그러나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에 따라 9월 이후로 미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 시장에선 일본 경제 지표 호조로 인해 BOJ가 5월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미국 로이터통신은 최근 임금 상승과 식품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을 높이고 있다면서 5월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기했다.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BOJ 정책위원회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상을 논의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블룸버그통신 설문조사에서도 5월설이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설문조사 결과 시장 참가자들은 5월 1일 BOJ 정책회의에서 금리 인상 확률로 28%를 점쳤다. 이는 1월 금리 인상 직후보다 두 배 이상 높아진 수치다. 블룸버그통신이 올해 초 금리 인상 직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7월이 다음 금리 인상을 위한 가장 유력한 시기로 꼽혔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를 키우면서 BOJ 정책위원회가 더욱 신중해졌으며, 당분간 다음 금리 인상의 시기에 대한 명확한 신호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BOJ가 6개월 간격으로 금리를 조정할 것이라는 시장 기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채권 수익률 급증 위험을 방지하고 정책 대응이 늦어진다는 비판을 피할 수 있다"고 짚었다.
BOJ는 올해 1월 정책 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하며 2008년 이후 처음 금리 인상 기조로 전환했다. 우치다 신이치 BOJ 부총재는 실제 경제 상황이 전망과 부합할 경우 금리 인상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