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가 상승을 겪을수록 집을 소유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특히 30대 이하 젊은층에서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졌다.
4일 최영준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경험이 주택 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상승을 경험한 경우 자가주택을 소유할 확률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주택의 인플레이션 헤징(위험분산)’ 개념을 한국의 장기간 물가 상승기에 접목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놨다. ‘주택의 인플레이션 헤징’은 물가 상승기에 현금 등 화폐자산은 가치가 하락하는 반면 주택 등 실물자산은 물가 상승을 반영해 가격이 오를 것이란 시장의 믿음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물가가 1%포인트 오른 경험을 하면 자가주택을 소유할 확률은 1.6%포인트 상승했다. 근원물가가 1%포인트 상승할 때는 주택 소유 확률이 6%포인트 높아졌다. 최 연구위원은 “근원 인플레이션이 기대 인플레이션과 긴밀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근원 인플레이션 경험이 높아지면 가구주가 자가주택을 소유할 확률을 더 크게 상승시킨 것”이라고 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현금자산 가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자가주택을 사려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이다.
남성과 기혼 가구주도 근원 인플레이션 경험이 1%포인트 올랐을 때 자가주택 소유율이 각각 8.0%포인트, 9.0%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