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지출에서 식비 비중이 높은 소득하위 20% 가구(1분위)의 식비 부담이 5년 새 40% 늘어났다. 더욱이 올해 들어 식료품을 중심으로 물가상승폭이 커지는 흐름이라 서민의 살림살이 부담은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연간 지출)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 가구에서 식비로 쓴 금액은 월 평균 43만4000원이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에 27만4000원, 외식 등 식사비에 16만원 지출했다.
이는 소득 2~5분위의 식비가 평균적으로 25%안팎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높은 증가 폭이다.
1분위 식비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2019년 31만3000원에서 2020년 34만2000원으로 늘었다. 이후 2021년 37만6000원, 2022년 39만9000원, 2023년 40만6000원으로 올랐다.
1분위의 식비는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12만1000원(38.6%) 늘었다. 반면 (1분위를 제외한) 전체 가구의 식비는 같은 기간 66만6000원에서 지난해 84만1000원으로 17만5천원(26.3%) 증가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지수는 2019년 95.8%에서 지난해 122.9%로 올랐다. 외식을 비롯한 음식서비스 물가지수도 2019년 99.2%에서 지난해 121.0%로 22.0% 상승했다.
한편, 소비자물가 조사 품목 458개 중 지난해 물가 상승이 가팔랐던 상위 10개 품목 중 9개는 먹거리 품목이 차지하기도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