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5 (토)

이슈 물가와 GDP

한은 “계엄발 환율 급등, 하반기까지 물가 상승 압력”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급등한 원-달러 환율이 하향 안정되더라도 올해 하반기까지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모형 분석 결과 원-달러 환율 변동률이 10%포인트 상승할 때 향후 1년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7%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반 3개월(단기)의 전가 효과가 0.28%포인트, 이후 4~12개월(장기)의 전가 효과가 0.19%포인트로 각각 측정됐다. 단기와 장기 효과가 6대 4의 비율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전가 효과는 환율 변동 후 9개월째 가장 커졌다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처럼 환율이 급등해 3개월 이상 유지된 경우를 보면, 단기 효과가 0.31%포인트, 장기 효과가 1.30%포인트로 분석됐다. 장단기 효과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장기 효과가 단기보다 훨씬 커지는 것이다.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작년보다 10% 상승할 경우,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35%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보고서는 추산했다. 한은이 전망하는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은 각각 1.9%다.



조강철 한은 조사국 차장은 “이는 가격을 동결하던 기업들이 고환율 장기화로 뒤늦게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환율의 물가 전가 효과가 확대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며 “향후 환율이 다소 하락해도 그간 환율이 급등했던 것이 올해 하반기에도 잠재적인 물가 상승 요인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율 민감 품목은 석유류 등 주로 생산 과정의 수입 중간재들이며, 장기 민감 품목들은 등락폭은 작지만 시차를 두고 오랫동안 환율의 영향을 받았다. 조 차장은 “환율 영향으로 에너지 등의 가격은 즉시 영향을 받는 반면 중간재와 최종재는 시차를 두고 파급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