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 분석’
2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말 급등해 여전히 높은 원·달러 환율이 조만간 다소 하락해도 올해 하반기까지 계속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한국은행은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환율 변화에 따른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를 추정했다.
패널 고정 효과 모형 분석에 따르면 환율 변동률이 10%p 상승한 후 1년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0.47%p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전가는 환율 변동 후 9개월 지난 달에 최대를 기록하고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가격을 동결하던 기업들이 고환율 장기화로 뒤늦게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환율의 물가 전가 효과가 확대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와 별도로 환율 변화의 품목별 영향도 함께 분석했다.
먼저 환율 변동 후 3개월 안에 물가가 움직이는 품목 45개를 단기 민감 품목, 이후 9개월 동안 천천히 움직이는 품목 73개를 장기 민감 품목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환율 급등기에는 환율 단기 민감 물가가 크게 급등락한 반면에 환율 장기 민감 물가는 등락폭이 훨씬 작으면서도 시차를 두고 오랫동안 환율 영향을 받았다.
환율 민감 품목은 생산 과정에서 수입 중간재가 많이 투입되는 품목이었다.
연구팀은 “결론적으로 향후 환율이 다소 하락해도 그간 환율이 급등했던 것이 올해 하반기에도 잠재적인 물가 상승 요인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