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안전하니까 무서워 마”…하늘양 동급생들 일주일만에 등교, 손 못놓는 학부모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하늘양(8) 피살 사건이 발생한 대전 서구 모 초등학교 학생들이 17일 부모의 손을 잡고 등교하고 있다. 이 학교 학생들은 사건 발생 일주일만인 이날 등교를 재개했다. 이종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전하니까 무서워 하지마. 알았지?”

아이의 손을 꼭 잡고 교문으로 향하던 한 학부모는 아이를 안심시키려는 듯 몇 번이고 같은 말을 반복했다. 이 학부모는 아이를 꼭 끌어안은 뒤 교실로 향하는 모습을 끝까지 지켜보고서야 무거운 발걸음을 뗐다.

김하늘양(8) 피살 사건이 발생한 대전 서구 모 초등학교 학생들이 17일 일주일만에 등교했다. 해당 학교는 사건 발생 다음날인 지난 11일부터 재량휴업에 들어갔다 이날 1∼3학년 학생들을 처음으로 등교시켰다. 일주일만의 등교지만 1~3학년은 이날 종업식을 갖고 바로 학년말 방학에 들어간다. 4∼6학년 학생들은 18일 등교해 종업식과 졸업식을 갖는다.

사건 발생 후 처음 이뤄지는 학생들의 등교에 맞춰 이날 학교 주변에는 경찰 지구대 순찰차와 기동순찰대 차량 4대가 배치됐다. 15명 정도의 경찰 인력이 투입돼 주변 범죄취약지 등을 순찰하고, 등굣길 학생 안전 관리도 지원했다.

학교에서 교사가 휘두른 흉기에 학생이 찔려 숨지는 참사가 벌어진 탓인지 이날 등굣길에는 부모나 할아버지, 할머니 손을 잡고 등교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일부 학부모는 발길을 돌리지 못하고 학교 담장 너머로 계속 손을 흔들며 아이가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지켜봤다. 학교 앞 경찰관을 본 어린 아이들은 어떤 상황인지 잘 알지 못하는 듯 “우리 학교 경찰이 지켜준다”고 소리치며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학교에 들어서기도 했다.

학부모 박모씨(44)는 “1학년과 3학년 아이가 이 학교에 다니는데 오늘 학교를 보낼까 말까 고민하다 방학이라 교실에 있는 짐도 챙겨와야해 어쩔 수 없이 보냈다”며 “첫째는 평소에도 불안감이 높은 아이인데 이번 사건으로 너무 충격을 받아서 불안해하고 두려워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아이들에게 학교에서도 담임 선생님 말고는 모르는 선생님은 따라가지 말라고 교육했다”며 “학교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으니 불안해서 어찌해야 할 지 모르겠다”고 했다.

김하늘양(8) 피살 사건이 발생한 대전 서구 모 초등학교 앞에 17일 등굣길 안전을 위해 경찰이 배치돼 있다. 이종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등교 대상인 1~3학년 학생 중에는 등교하지 않은 학생들도 있었다. 학부모와 아이들의 불안감 때문으로 보인다. 학교 측도 사전에 아이나 학부모가 등교를 원하지 않을 경우 자율적으로 등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안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학교 앞에서 만난 한 부모는 “아이의 전학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학교에서는 지난 10일 돌봄교실을 마치고 학원에 가려던 김양이 40대 교사 A씨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숨지는 일이 벌어졌다. 김양이 흉기에 찔린 채 발견된 곳은 돌봄교실에서 멀지 않은 같은 층의 시청각실 창고였다. 김양은 학교에서 A씨와 직접적인 접점이 없었다. A씨는 경찰에 “(살해하기 전) 책을 준다고 아이를 유인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대전시교육청은 이날부터 해당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을 지원한다. 학부모가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위기 스크리닝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 상담치유기관과 연계해 심리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교직원과 학부모를 대상으로도 심리 상담을 지원하고, 아이들의 심리 상태를 돌보는데 필요한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사건을 두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대전지역 학부모·교육단체와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이날 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부모들은 이번 사건을 보며 직장에 나가지 말고 아이들을 학교에 데려가고 데려와야지 싶다가도 현실은 그렇게 할 수 없어 더 억장이 무너진다”며 “아이들이 안전하게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대전시의회도 이날 열린 교육위원회 회의에서 교육청의 현안 보고를 받고 사건 발생 경위와 대책을 점검했다. 의원들은 학교 내 폐쇄회로(CC)TV 설치 확대와 돌봄교실 관리 및 지원 인력 확충, 질환교원심의위원회 운영의 실질화 등을 주문하면서 특정 사건에 국한한 대책이 아니라 학교 안전 문제를 전반적으로 점검해 포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종섭 기자 nomad@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