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쇼피코리아가 2024년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사진: 쇼피코리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지난해 동남아시아에서 K셀러들의 해외직접판매(역직구)가 60%대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K뷰티의 경우 전년 대비 주문 건수가 최대 20배 증가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기를 끌고 있다.
31일 쇼피코리아에 따르면 2024년 쇼피 내 K셀러 주문 건수는 전년 대비 63%, 매출액은 44% 증가했다. 쇼피 글로벌 플랫폼과 대조해도 같은 기간 주문 건수 성장률은 1.8배 높게 나타나 글로벌 평균 대비 고성장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쇼피코리아는 국내 판매자들의 쇼피 글로벌 플랫폼을 통한 해외직접판매(역직구)를 지원한다.
쇼피코리아는 호실적 배경으로 뷰티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K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한 점을 꼽았다. 회사에 따르면 지난해 톱5 카테고리는 뷰티, 취미(K팝 기획상품), 헬스, 모바일 악세서리, 식품으로 나타났다. 해당 카테고리 모두 두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뷰티 카테고리는 전년 대비 주문 건수가 77% 성장했다. 제품군별로는 세트(87%), 스킨케어 및 메이크업(81%), 뷰티툴(70%)의 주문 건이 크게 늘었다. 특히 브이티코스메틱 '리들샷 에센스'와 코스알엑스의 '아크네 핌플 마스터 패치'를 비롯해 잉가의 '워터 글로우 립 틴트' 등이 동남아 시장에서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쇼피는 전했다.
패션 카테고리에선 여성 속옷과 여성 상의 주문 건수가 각각 389%, 211% 증가했다. 여성 크로스백과 숄더백도 2배 이상 더 판매됐다. 대표적으로 디자이너 브랜드 '스탠드오일'의 '츄비백'이 대만과 태국에서 매출액 및 주문수 1위를 기록했다.
쇼피 자체 풀필먼트서비스(FBS)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FBS로 배송되는 K제품 비중이 31%에 달했다. 필리핀(26%), 태국(26%), 싱가포르(23%) 등에서도 FBS 사용 비중이 높았다. 쇼피는 지난해부터 국내 풀필먼스서비스를 선보여 한국 셀러들이 현지 판매자와 견줄 수 있는 배송 경쟁력을 갖추도록 돕고 있다는 설명이다.
라이브커머스도 확대 추세다. 베트남의 경우 라이브커머스로 판매되는 K제품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태국(26%), 말레이시아(20%) 등도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권윤아 쇼피코리아 대표는 "지난해에는 기존 카테고리 내에서도 세부 품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다양한 셀러 지원 제도로 신규 브랜드와 마켓별 고른 성장을 이끌어 좋은 성과를 거뒀다"며 "2025년 '베트남, 태국 시장 매출 성장률 300% 달성, 뷰티 카테고리 100% 성장' 목표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