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인공지능(AI) 중심의 디지털혁신이 가속화함에 따라, 기업들의 IT투자 축소 움직임에도 클라우드에 대한 투자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한국IDC는 최근 ‘전 세계 클라우드 2025년 전망 – 국내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디지털전환 가속화와 함께 증가하는 생성형 AI 도입 수요로 성숙기에 진입하고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한국IDC에서 클라우드 리서치를 담당하는 김명한 책임연구원은 “많은 조직들이 AI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체질 개선을 시도하며 디지털혁신을 가속화함에 따라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라며 “AI가 기업 내 주요 화두가 되며, 향후 불확실성 증가로 인한 IT 지출 감소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관련 투자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의 신기술 투자 및 기술 환경 구성을 고려한 클라우드 기반의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는 제언이다.
먼저, 올해는 ‘클라우드 현대화’다가 주요 키워드로 떠오를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7년까지 40% 이상의 기업이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최대 50%를 현대화해 인프라 및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비즈니스 및 기술 혁신을 실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어갭 클라우드(Air-Gapped Clouds)‘도 화두다. 오는2026년까지 소버린 클라우드 전략의 일환으로 K2000 기업의 20%는 소버린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업체를 찾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화 클라우드(Specialized Cloud)’를 찾는 움직임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2027년까지 K2000 기업의 60%가 전문화된 가속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활용하여 배포 속도를 극대화하고 AI 및 기타 가속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을 최적화할 것이다.
‘멀티클라우드 서비스형플랫폼(PaaS)’도 중요해진다. 2028년까지 새로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75% 이상이 플랫폼 제공 기능을 활용하고 더욱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멀티클라우드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I에 준비된(Ready) 데이터 관리’도 주된 키워드 중 하나다. 2025년까지 K2000 기업의 40%가 멀티클라우드 데이터 로지스틱스 플랫폼을 도입, 하이퍼스케일러 간에 활발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용 최적화, 벤더 종속성 감소, 거버넌스 개선을 달성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
‘네트워크 현대화’ 측면에선 2027년까지 K2000 기업의 65%가 네트워크 현대화, 인력 부족 문제, 서비스 개선을 위해 클라우드서비스제공업체의 서비스형인프라(IaaS)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예산을 두 배로 늘릴 것으로 예측됐다.
이 밖에 2027년까지 생성형AI 추론을 확장해야 하는 국내 최고정보책임자(CIO)의 60%가 클라우드제공업체의 ‘엣지 인퍼런싱’ 서비스를 활용하게 되며, 같은 기간 K2000 기업의 25%는 성능 최적화와 비용 효율성을 위해 ARM 프로세서 또는 AI 및 머신러닝(ML) 전용 칩을 포함한 ‘커스텀 실리콘’을 사용할 전망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