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버드모이 유튜브 영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한 여행 유튜버가 중국 공항에서 카드 복제를 당해 180만원의 피해를 입은 사연을 공개하며 해외여행객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28일 유튜버 '버드모이'는 자신의 채널에 '중국 공항에서 180만원 뜯겼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서 버드모이는 지난해 10월 신용카드 결제 청구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평소 한달에 100만~150만원가량을 카드로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결제 금액이 360만원이 나온 것이었다.
세부 내역을 살펴보니 10월 15일 해외 택시 어플인 '우버'에서 1분 단위로 총 9번, 총 180만원가량이 결제됐다. 이 때는 버드모이는 중국에서 이집트로 향하는 비행기에 타고 있었다.
이어 "시간이 말이 안 된다. 2시 35분, 36분 등 9번에 걸쳐 파운드로 180만원가량이 인출됐다. 더 놀라운 점은 내가 그 시간에 비행기에 있었다는 거다. 우버를 탈 일이 아예 없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행 후 지난해 12월 한국에 도착한 버드모이는 카드사 고객센터를 통해 이의제기 신청을 했다. 그는 "우버가 해외가맹점이라 최소 50일에서 최대 90일까지 걸린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버드모이는 신용카드 복제를 의심했다. 그는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10월 15일 한국에서 중국을 경유(2시간)해 이집트에 갔다. 복제된 시간을 보니 중국 공항이었다"고 떠올렸다.
이어 "면세점에서 술을 사려고 카드로 결제하려 했는데 계속 카드가 안 먹히더라. 기계를 바꾸며 여러 번 시도했다. '이상하다' 하면서 결국 위챗페이로 결제했는데 그때 복제가 된 것 같다. 내가 비행기를 탄 시점에 다 털린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1월 코로나19 이후 해외 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카드 도난·분실, 위·변조 등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며 '소비자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해외여행 시 출국 전 해외사용안심설정 서비스를 신청해 카드 사용국가와 1회 사용금액, 사용기간 등을 설정하면 부정사용 등 원하지 않는 해외결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카드사의 해외출입국 정보활용에 동의하면 출국기록이 없거나 국내 입국이 확인된 후에는 해외 오프라인 결제를 차단해 카드 부정거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