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 시장 파이 커지는 것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 호재
미국의 대중국 수출규제 첨단→범용 반도체로 확대 우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과 중국 간 인공지능(AI) 기술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부상이 AI 반도체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딥시크는 중저가 AI 반도체를 활용해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AI 서비스에 대적할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하며 업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의 독점적 지위를 위협하며 AI 반도체 시장이 최첨단 반도체 중심에서 범용 반도체 시장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 반도체 업계는 AI 반도체 시장이 확장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가 범용 반도체까지 확대될 가능성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딥시크, AI 반도체 시장 재편 신호탄… 최첨단에서 범용 AI 반도체로 확대
딥시크는 기존 AI 산업의 고정관념을 깨고 있다. AI 시장이 기존에는 오픈AI와 엔비디아 중심의 최첨단 반도체를 활용한 고가 AI 시장이었던 반면, 딥시크는 고성능 칩 없이도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딥시크의 등장은 전체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예고하는 것이며, 이는 D램을 주력으로 하는 한국 반도체 업계에도 긍정적인 변화”라고 평가했다.
AI 시장 확대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 급증과도 직결된다. AI 모델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GPU 시장을 독점해 온 엔비디아는 그동안 고성능·고효율을 강조하며 고가 제품을 판매해 왔다.
하지만 딥시크의 AI 모델 훈련에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출시한 H800 칩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픈AI·엔비디아 중심의 AI 패권이 흔들릴 조짐을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 반도체 업계, ‘AI 반도체 패권 변화’ 속 전략 조정
한국 반도체 업계는 딥시크의 등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저비용 AI 학습 모델이 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한국 반도체 생태계에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형 반도체 기업들도 딥시크의 등장을 시장 확장의 기회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 반도체 업계 입장에서는 AI 반도체 시장이 커지는 것이 중요한 시그널”이라며 “H800 칩도 완전히 저사양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 매출 규모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중 AI 전쟁 속 ‘선택강요’ 압박… 韓 반도체업계 중국向 매출 30% 지켜내야
AI 반도체 시장 저변이 확대된다는 점은 호재지만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가 첨단 반도체에서 범용 반도체로 확대될 경우 국내 기업들의 대중 수출이 더욱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
한 반도체 대기업 관계자는 “미국이 현재는 첨단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중 수출을 규제하고 있지만, 만약 규제가 구형 반도체까지 확대될 경우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이라는 주요 시장을 완전히 잃을 수도 있다”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재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는 중국의 AI 성장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반도체 공급망을 차단하려 할 것”이라며 “딥시크의 부상은 미국 입장에서 강한 경고음이며, 중국 압박을 위해 한국의 동참을 강력히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는 “한국 정부와 반도체 업계가 힘을 합쳐 선제적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수출 전략을 다변화하고, 중국과의 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신속히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