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교육계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인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를 취재하던 중 겪은 일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A 씨는 기자에게 “자녀가 AI 교과서로 수업을 받는다고 생각해보시라”며 “도입이 불과 두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효과성이 제대로 입증되지 않았다. 걱정이 안 되겠느냐”고 언성을 높였다.
실제로 교육부가 3월부터 학교 현장에 자율 도입하기로 한 AI 교과서는 실효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달 17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AI 교과서 검증 청문회에서도 찬반이 팽팽히 맞섰다. “개별 맞춤형 수업이 가능해져 학습에 분명 많은 도움을 줄 것”(조재범 경기 용인 풍덕초 교사)이라는 긍정적 평가도 나왔지만, “AI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줄이기 때문에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의미가 학생들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못한다”(천경호 경기 성남 보평초 교사)는 우려도 제기됐다.
그 뿐만이 아니다. 당국은 AI 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교과서’로 규정할지 ‘교육 자료’로 볼지조차 명확히 정하지 못한 상태다. AI 교과서를 교육 자료로 규정한 법안이 지난달 말 국회를 통과했지만, 정부가 이에 대해 재의 요구에 나서면서 논란이 더욱 커졌다. AI 교과서가 ‘교과서’가 된다면 모든 학교에서 이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는 이를 민감하게 볼 수밖에 없다.
국회 상황을 고려하면 AI 교과서는 ‘교과서’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교육부는 법적 지위와는 별개로 올해는 각 학교가 AI 교과서 도입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AI 교과서가 얼마나 활용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다.
AI 교과서 도입 자체가 잘못됐다는 게 아니다. 관련 취재 당시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기자에게 “기사도 손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 노트북을 활용하지 않느냐”며 “미래 사회에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는 역량은 필수적이다. 디지털 리터러시를 어떻게 길러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가 우리 일상 깊숙이 자리 잡은 지금 교육 현장에서 AI를 활용하는 것 자체를 배제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투데이/정유정 기자 (oiljung@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