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3.1%) 대비 하락…시장 예상 하회
소비지출 4.2% 증가로 견조한 회복세 지속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현지시간)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전기 대비 연율 기준 2.3% 성장했다.
지난해 3분기 성장률 3.1%는 물론 전문가 전망치 2.7%를 하회한 수준이다. 다만 1%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미국의 잠재성장률을 웃돌아 여전히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2.8%로 2023년 2.9%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인플레이션은 상승했다. Fed가 가장 중시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2.5% 올라 지난해 3분기(2.2%)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시장 전망치(2.5%)에는 부합했다. 근원 PCE 물가는 식품·에너지를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클리어브리지 인베스트먼츠의 조시 잼너 투자 전략 분석가 역시 "전반적으로 경제는 2025년으로 향하며 견고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 경제가 견조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인플레이션 하락세는 둔화된 상황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예고한 대로 신중한 통화완화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Fed는 전날 통화완화 사이클을 일시 중단했다. 지난해 9월 첫 금리 인하에 착수, 최고 연 5.25~5.5%였던 금리를 3연속 인하해 1%포인트 낮춘 뒤 첫 동결 조치였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현재 금리가 "상당히 덜 제약적"이라면서 "정책과 경제가 정말 좋은 상태에 놓여 있어 (통화정책) 조정을 위해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