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국가 딜레마’에 빠진 한국
정통산업 고수하다 AI 큰판 놓쳐
한국 AI 위기, GPU 보유량 처참한 수준
테슬라 3.5만대vs韓 2000대…격차 심각
“AI 군비경쟁서 뒤처진다” 전문가들 경고
노동생산성 38개국 중 33위…경쟁력 하락
프랑스 AI 급성장…한국도 국가 지원 시급
정통산업 고수하다 AI 큰판 놓쳐
한국 AI 위기, GPU 보유량 처참한 수준
테슬라 3.5만대vs韓 2000대…격차 심각
“AI 군비경쟁서 뒤처진다” 전문가들 경고
노동생산성 38개국 중 33위…경쟁력 하락
프랑스 AI 급성장…한국도 국가 지원 시급
엔비디아가 지난 2024년 3월 공개한 주력 AI칩 ‘블랙웰’ [사진 = 엔비디아] |
‘한국 전체 2000대 VS 테슬라 3만5000대’.
전 세계는 AI 군비 경쟁을 벌이고 있다. 테슬라·구글 웨이모가 사람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전자율주행차를 선보이고 미국 오픈AI, 중국 딥시크가 작가처럼 글을 쓰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내놓은 배경에는 GPU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 ‘중진국 함정’을 벗어난 대표 모범 국가로 꼽혀 왔다. 수많은 개발도상국이 중간소득국가(1인당 국민총소득 1136~1만3845달러)에 진입한 뒤 고소득국가(1인당 국민총소득 1만3846달러 이상) 문턱에서 좌절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1960년대 중진국 101개 가운데 중진국 함정을 탈출한 국가는 대한민국, 아일랜드, 대만 등 3개국에 불과하다.
한국은 수출 중심 성장, 연구개발(R&D) 투자, 인재 양성에 힘입어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났다. 하지만 AI 시대를 맞아 빛이 바래는 모양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발표한 ‘AI 성숙도 매트릭스’에 따르면 한국은 2군에 해당하는 ‘AI 안정적 경쟁국가’다. 미국, 중국, 캐나다, 싱가포르, 영국 5개국만 ‘AI 선도국가’다. 한국은 특히 AI 운영 환경에서 35위로 매우 낮은 평가를 받았다. 관련 법·제도 정비 부재, 사회적 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는 더 부족하다. 한국산업연합포럼에 따르면 주요 30개국 AI 인력은 47만8000명에 달한다. 한국은 약 2500명으로 세계 22위 수준이다.
전통 제조업에서 한국에 비해 한 수 아래로 여겨진 중국은 AI 산업에서 미국과 함께 양대 산맥으로 부상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미국을 100점으로 보면 중국은 50점대 초반, 한국은 30점 정도”라며 “한국이 조금만 미끄러져도 20위권 밖이 된다”고 염려했다.
한국이 중국에 뒤처진 것은 ‘혁신국가의 딜레마’에 빠졌기 때문이다. 한국은 그동안 반도체, 스마트폰, 자동차 등 전통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지만 AI와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에는 적기에 대응하지 못했다. 고인이 된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하버드대 경영학 교수는 ‘혁신기업의 딜레마’라는 책에서 혁신을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는 ‘지속적 혁신’과 종전 시장을 파괴하고 새 시장을 창출하는 ‘파괴적 혁신’으로 구분했다.
한국은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제조업경쟁력지수(CIP) 순위에서 독일, 중국, 아일랜드에 이은 4위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44.4달러로 38개국 가운데 33위다. 지속적 혁신은 있었지만, 부가가치를 크게 창출하는 파괴적 혁신은 부족했다는 뜻이다.
반면 중국의 창조적 파괴는 무섭다. 화웨이, 텐센트, TCL은 AI 기반 스마트 제조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고 있고 BYD, 니오, 엑스펑은 막대한 정부 보조금을 등에 업고 자율주행차를 잇달아 만들어내고 있다.
국내에서는 △AI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GPU 의존도를 줄이는 AI 최적화 기술을 개발하며 △AI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연구 지원을 강화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IT 업계 관계자는 “개별 기업 차원에서 따라가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AI 기술에 직접 펀딩을 지원하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용어설명
▶혁신국가의 딜레마 : 한 국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는 ‘지속적 혁신’에 집중하느라 시장이 통째로 바뀌는 ‘창조적 파괴’를 놓치는 현실을 가리킨다.
▶혁신국가의 딜레마 : 한 국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는 ‘지속적 혁신’에 집중하느라 시장이 통째로 바뀌는 ‘창조적 파괴’를 놓치는 현실을 가리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