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가 미국에서 만들도록 장려”
관세 무기화로 자국 투자 유도 의지
“내달 7일 미일 정상회담 개최 조율”
관세 무기화로 자국 투자 유도 의지
“내달 7일 미일 정상회담 개최 조율”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 [AFP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무역정책을 총괄하게 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가 한국, 일본 등 동맹국이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해왔다며 관세로 대응할 것을 시사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29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상원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우리의 훌륭한 동맹국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며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생산시설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며 “관세가 기업들이 돌아와서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도록 장려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러트닉 지명자는 특정 제품이나 특정 국가에 대한 표적관세보다 ‘보편관세’를 선호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관세를 활용해 미국으로 생산기지 이전을 촉진하려는 전략에 ‘동맹국’이라고 해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결정한 외국 기업에 대한 반도체지원법(칩스법)상 보조금 지급 계약 이행과 관련해서는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러트닉 지명자는 “내가 읽지 않은 무엇을 이행할 수 없다”며 “(보조금 지급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약을 분석하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스톰’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트럼프 대통령과 접점을 만들려고 분주한 가운데 일본이 발 빠르게 정상회담을 추진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