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건설업계 불황 장기화…은행마다 대출 조인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6일 유동성 부족 사태에 직면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신동아건설 사옥. 신동아건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3·4분기에 건설업 생산과 투자가 전년동기대비 -0.3~-0.9%를 기록하며 최악의 업황을 보이자 은행들이 건설업종 대출 문턱을 더욱 높이며 부실위험 선제 관리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오는 31일부터 건설업체에 대해 신용평가 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10억원 초과 신규 대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각종 담보대출을 비롯한 결제성 자금 등은 예외다. 신용등급이 다소 취약한 기업에는 대출의 80% 이상 보증을 조건으로 하는 담보대출만 허용한다. 우리은행은 “건설경기 악화로 신용 리스크가 확대되고 부실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커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은행들도 건설업 업황이 나빠지자 엄격한 관리 기준을 적용하며 대출을 조이는 모습이다. 케이비(KB)국민은행은 2023년 하반기부터 건설업을 중점 관리 업종으로 선정하고 건설업 연간 순증 대출 한도를 12조5천억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하나은행도 건설업종의 익스포져(위험 노출액) 리스크를 점검하며 대출 한도를 보수적으로 관리해왔다. 엔에이치(NH)농협은행은 2023년부터 건설업 대출 취급기준을 강화했는데, 건물건설업은 일반적인 신규 여신취급이 아예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준을 설정했다. 우량 차주만 예외 취급한다.



한국은행이 지난 23일 발표한 지난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를 보면, 건설업 생산은 지난해 3분기에 전년동기대비 -0.3%, 4분기 -0.3%를, 건설투자는 지난해 3분기에 전년동기대비 -0.9%, 4분기 -0.8%를 기록했다. ‘건설 불황’이 더 깊어지고 장기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건설경기가 예상보다 많이 떨어지는 중”이라고 언급했다.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말 평균 0.47%로, 전체 원화 대출 평균연체율(0.35%)보다 높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국내 건설투자가 지난해보다 1.3%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초 전망(-0.7%)에서 더 후퇴했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