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합동감식 지연…"항공유 추가 화재 위험 있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양쪽 날개에 16t 항공유 실려 있어

연료 빼내야할 경우 최소 2~3일 지연 예상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 원인 조사를 위한 합동 감식이 항공유 문제로 지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소방당국, 공항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현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0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부산경찰청, 부산소방재난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논의한 결과 에어부산 BX391편 항공기 화재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합동 감식 일정을 항공유 제거 여부를 결정한 뒤로 미룬다고 밝혔다.

합동 감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적재된 항공유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 사고가 난 항공기 양쪽 날개에 3만5000파운드(약 16t)의 항공유가 실려 있어 추가 화재로 인한 폭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항철위는 이날 오후 김해공항에 도착한 프랑스 사고 조사위원회 관계자와 논의를 거친 뒤 항공유 제거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항공유 제거 여부 판단은 BX391편 기종인 A321을 설계하고 제작한 에어버스사 관계자들이 할 예정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규정에 의해 항공기를 제작하고 설계한 국가는 사고 조사에 참여해야 한다.

항공유를 빼지 않아도 된다면 오는 31일 합동 감식을 바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추가 사고 위험성으로 연료를 모두 빼내야 할 경우 합동 감식은 최소 2~3일 미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연료를 배출하기 위해 조작하는 스위치가 있는 항공기 조종실이 일부 소실됐기 때문에 연료를 빼는 데 시일이 더 걸릴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항철위는 펌프가 아닌 중력을 이용해 연료를 제거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엔 연료 배출에 24시간 이상이 걸린다.

현장 감식이 늦어지면서 경찰 수사 여부 역시 덩달아 미뤄졌다. 경찰은 항공사 등에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수하물 반입 규정과 기체 전력 설비 문제 등도 점검해 과실 유무를 파악할 예정이다. 항철위 등은 합동 감식이 진행될 경우 항공기 화재가 시작된 지점과 발생한 원인 등을 규명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