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
美 자산 채택땐 각국 확보전 치열
韓, 뒤늦게 매입하면 비용만 커져
스테이블코인 합법화 혁신 부를것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도 많은 사람이 ‘비트코인 국가 보유를 검토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게 될 시점이 올 겁니다. 각국에서 국가 단위의 포모(FOMO·소외 공포)가 시작될 테니까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4일 만인 23일(현지 시간) 가상자산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가상자산·인공지능(AI) 총책임자인 데이비드 색스가 이끄는 이 실무그룹은 6개월 이내에 가상자산 규제 완화와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비축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하게 된다.
가상자산 업계는 미 공화당이 비트코인 100만 개를 매입해 최소 20년간 보유하는 법안을 발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 최대 채굴 가능량인 2100만 개의 약 5%에 해당하는데, 훗날 비트코인을 팔아 그 차액으로 국가부채의 일부를 해결한다는 게 신시아 루미스 등 공화당 일부 의원들의 아이디어다. 이 외에 텍사스·오하이오·펜실베이니아 등의 주의회도 주 차원의 비트코인 전략자산 법안을 발의 또는 준비하고 있다.
김 센터장은 “지난 10여 년간 비트코인은 큰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기 위한 최고의 투자처임을 증명했다”면서 “여기에 미국이 국가부채 해결책으로 비트코인 보유를 택한다면 각국에서 ‘우리는 왜 안 하지?’라는 여론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국가 간 경쟁이 시작되면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것은 각국 자산관리자에게 ‘선관주의의무’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노르웨이 국부펀드, 한국 국민연금 등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등 비트코인 보유 기업 주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미 비트코인에 대한 간접투자를 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한국에서도 법정화폐에 가치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 합법화되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그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민간기업이 발행한다면 지급과 결제를 포함한 금융 시스템에 큰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확대해 미 국채 수요를 증가시키면 그 결과 달러화의 지배권이 보다 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맹준호 기자 nex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