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종합)與 "국정위기 극복 최선"…野 "중도층, 尹 탄핵 찬성·정권교체론 우세"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를 방문해 문 전 대통령을 예방, 손을 맞잡고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2025.1.30/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야가 설 연휴 민심에 대해 정반대 해석을 내놓았다. 여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불가론'을 부각하며 국정위기 극복 의지를 밝힌 반면, 민주당은 '이재명으로 정권교체'가 민심이라고 강조했다. 탄핵 국면에서 어느 때보다 진영간 갈등이 극심한 가운데 여야가 자기반성을 하기보단 민심을 각자 '아전인수'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설 연휴 마지막 날인 3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설 명절을 맞아 고향을 찾아 반가운 분들을 만나뵙고 여러 말씀을 들었다"며 "나라가 망가진 것 같단 걱정의 말씀을 많이 주셨다. 입법부는 거대야당의 폭주로 괴물이 됐고 사법부와 수사기관들은 거대야당의 눈치만 보는 것이 아니냐는 개탄의 목소리가 많이 있었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다수당의 입법횡포로 국정을 마비시켜온 민주당 이재명 세력이 국가권력을 완전히 장악하게 되면 끝없는 정치보복과 극심한 국론 분열로 나라가 벼랑으로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말씀도 계셨다"고 강조했다.
반성의 뜻도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지난 3년간 집권여당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질책의 말씀도 많이 주셨다"며 "국민의힘은 민생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두고 국민들의 먹고사는 걱정을 덜어드리고 작금의 국정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30/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주당은 설 민심으로 '이재명 대세론'을 들었다. 김민석 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설 연휴 민심 흐름에 대해 "진보와 중도층의 흐름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및 파면 찬성과 민주당 지지, 즉 정권교체론이 우세하다"이재명 대표의 개인 지지가 큰 폭의 1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재명으로 정권교체의 큰 흐름"이라고 진단했다.
김 최고위원은 "여론조사로 나타나는 보수층의 결집과 보수층 내의 극우 강세 흐름은 현실로 지속될 경우 한국정치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면서도 "극우화 흐름은 중도층 지지 확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 |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설 민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1.30.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최고위원은 "민주당을 향해 전국 곳곳에서 가장 많이 쏟아진 주문은 (윤 대통령 탄핵을) '빨리 끝내고 경제를 살리라는 것'"이라며 "민심의 요구에 따라 경제회생과 그를 위한 중장기 성장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 "내란 이후 생긴 극도의 사회적 긴장과 갈등을 완화할 민주당의 성숙하고 신중한 언행에 대한 요구도 많았다"며 "더 큰 책임감으로 무겁게 듣고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정아 민주당 대변인은 "내란을 조기에 종식시키고 민생경제를 살리겠다"며 "지금 대한민국을 위해 절실히 필요한 것은 국론 분열을 노린 선동이 아니라 위기 극복과 민생 회복을 위한 책임 있는 자세"라고 맞섰다.
한편 권 원내대표는 극우세력이 결집했으나 중도층에선 민주당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김 최고위원의 주장에 대해 "일방적 주장이기 때문에 일고의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국민들은 거야 이재명 세력의 입법독재, 사법부 장악, 국정마비에 대해 굉장히 개탄하고 있고 이렇게 입법부가 이재명 개인의 이익을 위해, 이재명의 개인 범죄를 덮기 위해 국정마비를 초래한 적이 있었는지 크게 실망함과 동시에 우리 당이 좀 더 중심을 잡고 민주당 이재명에 의한 입법독주를 견제해야 한다는 중론이 더 많았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