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7일(현지시각)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은 각각 전일 대비 17.0%, 17.4% 급락했다. 나스닥 지수는 3.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9.1% 하락했다.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비용·고효율 AI 모델이 발표된데 따른 영향이다.
반도체 기업의 주가 폭락은 직전 트럼프 대통령의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 발표 직후였던 만큼 시장 충격이 더욱 컸다. 딥시크의 등장으로 향후 AI 개발에 최첨단 반도체 수요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불거진 까닭이다.
이후 28일에는 전일 하락 폭이 과도했다는 인식에 엔비디아 주가는 9% 반등했지만, 29일 재차 5% 하락하며 극도의 변동성을 보였다.
동시에 AI 반도체 수요예 대한 긍정적 전망도 나온다. BofA는 AI 컴퓨팅 비용이 낮아지면 더 많은 기업이 AI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센터와 전력 수요가 외려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31일 명절 연휴를 마치고 개장하는 국내 증시 역시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등을 중심으로 극도의 변동성이 발생할 전망이다.
The Deepseek app is seen in this illustration taken on January 29, 2025. REUTERS/Dado Ruvic/Illustration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