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20 (목)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한 달…눈물로 차린 ‘전·떡국’ 설 차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설날인 지난 29일이 참사 한 달, 합동 차례지내

장례절차 마무리됐지만 공항 떠나지 못하는 유족들

블랙박스 기록 중단 탓에 사고 원인 규명은 ‘난항’

경향신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한 달째인 29일 무안국제공항 1층 합동분향소에서 유가족들이 합동 차례상 앞에서 절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곳은 동생이 마지막으로 있던 가장 가까운 장소입니다. 사고 원인이 제대로 밝혀질 때까지 계속 이곳을 찾을 예정이에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한 달을 맞은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을 찾은 40대 유가족 A씨가 말했다.

참사 피해자 179명에 대한 장례절차가 모두 완료됐지만, 유가족들은 여전히 공항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30일 유가족협의회와 전남도 등 따르면 공항 2층 대합실에는 유가족을 위한 쉘터 40개가 여전히 운영 중이다. 도 관계자는 “매일 유가족 수십여명이 이곳을 방문해 머물거나 밤을 지새운다”고 밝혔다.

참사로 부모님은 잃은 20대 B씨는 합동 장례를 치르고 텐트에 있던 짐도 모두 정리했지만, 거주지인 광주에서 자동차로 1시간여 떨어져 있는 이곳을 매일 찾고 있다고 했다.

그는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는 사실이 아직도 믿지기 않아 버릇처럼 이곳을 다녀가는 것 같다”며 “다른 유가족들과 슬픔이나 고통을 나누고, 혹시나 도와 드릴 게 없는지 묻는 것이 일상이 됐다”고 말했다.

29일은 설날이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무안공항에 있는 합동분향소에서 설 차례상을 함께 마련해 고인들의 넋을 기렸다. 차례상에 올린 음식들도 유가족들이 손수 마련했다. 유가족 40여명이 전날 합동분향소에 모여 전과 떡국, 나물, 과일 등 차례상을 준비하며 밤을 새웠다.

설날 아침 진행된 합동 차례는 금세 울음바다로 변했다. 정성껏 준비한 음식과 술을 영정과 위패가 있는 단상 아래에 올린 유가족들은 절을 하는 동안 이내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오열했다. 새해 덕담 대신 서로를 다독이고 위로하는 말들이 오갔다. 이날 합동 차례에는 유가족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박한신 유족협의회 대표는 “유가족들이 모여 합동으로 차례를 지내니 마음이 한결 나아졌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내달 15일 49재를 함께 치른 뒤 광주를 중심으로 후속 활동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보상 문제 등은 참사 원인이 모두 규명된 이후 논의할 예정이다.

경향신문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8일째인 지난 5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사고현장에서 관계자들이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을 살펴보고 있다. 무안|권도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사 원인에 대해선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다. 기체 엔진과 꼬리 부분 잔해 등이 인양돼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핵심 단서인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등 블랙박스가 사고 직전 기록이 중단돼 정확한 원인 규명에 난항을 겪고 있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운항상황 및 외부영향, 기체·엔진 이상 유무 등을 파악하기 위해 블랙박스 및 관제교신 기록 등 자료를 시간대별로 동기화하고 분석 중”이라며 “수 개월의 세부분석과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희생자와 유가족을 비방한 악성 글 작성자에 대한 수사도 계속 진행 중이다. 경찰은 사고 직후 한 달 동안 악성 글 220건을 수사해 이 중 14명을 검거했다. 경찰 관계자는 “비방글 작성자는 끝까지 수사해 반드시 엄벌에 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귀한 기자 go@kyunghyang.com,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