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와 근력운동 등 신체활동을 더 열심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ngin akyurt/Unsplash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와 근력운동 등 신체활동을 더 열심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운동 빈부격차’가 더 커진 모습이다.
30일 질병관리청의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일주일 동안 걷기를 하루 총 30분 이상 주 5일 넘게 실천한 사람은 44.5%로 나타났다. 이를 소득 수준별(5분위)로 분석할 경우 소득이 최하위인 ‘하’ 그룹에선 걷기 실천율이 39.1%로 가장 낮았고, 최상위인 ‘상’에선 49.2%로 10%포인트 넘게 차이가 났다. 소득이 중간 수준 그룹에선 ‘중상’(45.3%), ‘중하’(44.6%), ‘중’(43.8%) 등의 순으로 걷기 실천이 많았다.
소득 수준별 걷기 실천율 격차는 최근 더 커졌다. 2014년 조사에선 소득 수준별 걷기 실천율 상(43.7%)·하(41.7%) 격차가 2%포인트에 그쳤는데, 2023년엔 10%포인트로 5배나 벌어졌다.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도 소득별로 차이가 있었다. 소득 ‘하’ 그룹(48.3%)과 ‘상’ 그룹(57.2%) 간 격차가 8.9%포인트에 달했다. 2014년의 3.6%포인트(‘상’ 55.8%, ‘하’ 59.4%)보다 격차가 커졌다.
최근 일주일간 팔굽혀 펴기, 윗몸 일으키기, 아령, 철봉 등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진행한 ‘근력 활동 실천율’(전체 27.3%)도 마찬가지였다. 최상위 그룹이 32.8%인데 반해, ‘하’ 그룹은 21.4%로 고소득층이 11.4%포인트나 높았다. 소득에 따른 근력 운동 차이도 2014년 5.2%포인트에서 두 배 가까이 커졌다.
소득에 따른 신체활동 격차는 건강 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최근 대한의학회지에 실린 윤석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의 보고서를 보면, 2020년 기준 한국인의 건강수명(기대수명에서 질병·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을 소득 수준별(5분위)로 봤을 때 고소득층(74.88살)이 저소득층(66.22살)보다 8.66년 길었다. 전체 건강수명은 평균 71.82살이다. 연구진은 저소득층의 건강수명이 짧은 이유로 흡연,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을 꼽았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