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개막 첫날인 7일(현지시각)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 SK 전시관에서 정석근 SK텔레콤 GPAA 사업부장이 인공지능(AI) 개인 비서 서비스 '에스터'(Aster)와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SK텔레콤이 오는 3월 북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 예정인 인공지능(AI) 개인 비서 ‘에스터’가 구글 캘린더와 미국 유명 예약 사이트 등과 연동된 서비스로 개발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정보통신(IT)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에스터를 구글 캘린더와 연동해 베타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사용자가 구글 캘린더에 입력한 일정에 따라 AI 비서 에스터가 필요한 업무 목록을 제안하고 예약 등의 실행까지 도와준다는 것이다. 가령 사용자가 구글 캘린더에 ‘라스베이거스 출장’ 일정을 입력해놨다면 AI 비서가 출장 전에는 교통편·숙소 선택지를 제시한 뒤 사용자 의사에 따라 예약을 대신해 준다.
출장 도중 또는 완료 이후에 필요한 업무나 관광 일정을 짜는 일도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평소 취향이나 결정 내역에 따라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와준다는 설명이다. 이용자가 공연 관람을 원할 경우 적합한 공연을 추천하고 공연 장소 주변의 식당과 교통편까지 상세히 소개하는 길잡이 역할을 한 뒤에 각 일정에 대한 리뷰 확인과 예약, 결제까지 한 번에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식이다.
SK텔레콤은 생성형 AI 기반의 대화형 검색 서비스 ‘퍼플렉시티’를 에스터에 탑재하는 파트너십도 추진 중이다. SK텔레콤은 에스터의 베타 서비스 뒤 올해 하반기 북미 시장에서 본격 출시할 예정이다.
김수정 기자(revis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