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내일부터 한도 관리 강화…타행들도 엄격한 기준 적용
5대 은행 연체율 고공행진…올해 업황 전망도 암울
[연합뉴스 자료사진] |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은행권이 건설 불황 장기화 전망 속에 건설업종의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연초부터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등 건설 경기 침체 조짐이 한층 뚜렷해진 가운데 부실 건설사들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31일부터 건설업체 신용평가 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10억원 초과 신규 대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예·적금 담보대출, 100% 보증서 담보대출,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을 비롯한 결제성 자금 등은 예외다.
우리은행은 건설업 전망과 건전성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난해부터 대출 관리를 강화해오다 이번에 추가 대책을 적용한 것이다.
다른 은행들도 건설업 대출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분위기다.
KB국민은행은 2023년 하반기부터 건설업을 중점 관리 업종으로 선정해 리스크를 점검해왔다. 지난해에는 건설업 연간 순증 대출 한도를 12조5천억원으로 제한했다.
현재는 건설업체 중 관리가 필요한 업체를 따로 분류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중으로, 필요시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를 관리할 예정이다.
당장 추가 한도 제한 계획은 없지만, 업황이 더 나빠지면 리스크관리위원회 결의를 거쳐 관련 관리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NH농협은행 역시 2023년부터 건설업 대출 취급 기준을 강화했고, 지난해에도 대출 심사를 우량 사업장 위주로 선별해서 해왔다.
특히 건물건설업은 지난해 초부터 일반적인 신규 여신 취급이 아예 불가능하도록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우량 차주만 심사 소관 부서가 예외적으로 취급하도록 했다.
이들 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2023년 4분기 말 평균 0.45%에서 지난해 1분기 말 0.74%로 치솟은 뒤 2분기 말 0.52%, 3분기 말 0.48%, 4분기 말 0.47% 등으로 점차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 건설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지난달보다 2포인트(p) 하락한 5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설업황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건설경기가 예상보다 많이 떨어지는 중"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5대 은행 건설업 분기별 연체율 추이(단위:%)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자료 취합. | ||||||
구분 | KB국민 | 신한 | 하나 | 우리 | NH농협 | 평균 |
2022년 1분기 | 0.17 | 0.36 | 0.19 | 0.24 | 0.17 | 0.23 |
2분기 | 0.10 | 0.32 | 0.31 | 0.24 | 0.14 | 0.22 |
3분기 | 0.19 | 0.40 | 0.52 | 0.17 | 0.18 | 0.29 |
4분기 | 0.31 | 0.33 | 0.19 | 0.26 | 0.24 | 0.27 |
2023년 1분기 | 0.28 | 0.46 | 0.29 | 0.46 | 0.32 | 0.36 |
2분기 | 0.33 | 0.43 | 0.31 | 0.50 | 0.46 | 0.41 |
3분기 | 0.31 | 0.71 | 0.21 | 0.37 | 0.39 | 0.40 |
4분기 | 0.28 | 0.75 | 0.34 | 0.39 | 0.51 | 0.45 |
2024년 1분기 | 0.43 | 1.18 | 1.18 | 0.39 | 0.51 | 0.74 |
2분기 | 0.54 | 0.76 | 0.37 | 0.36 | 0.56 | 0.52 |
3분기 | 0.39 | 0.67 | 0.32 | 0.39 | 0.63 | 0.48 |
4분기 | 0.54 | 0.58 | 0.33 | 0.40 | 0.49 | 0.47 |
hanj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