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당국이 저가 항공사 항공기 정비 상태 파악해야" 지적도
처참한 에어부산 여객기 |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만에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로 항공기 이용객들의 우려와 불안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객기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수하물을 꺼내는 등의 행동으로 탈출을 지연시키지 말고 승무원의 통제에 따라 신속하게 대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9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밤 부산 김해공항에서 승객과 승무원 176명을 태우고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BX391편 꼬리 쪽 내부에서 불이 났다.
다행히 불길이 기내를 완전히 덮치기 전에 탑승자 전원이 비상용 슬라이드로 탈출하는 데 성공해 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김광일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기내에서 불이 나면 연기로 인해 시야가 제한될 수 있다"며 "낮 시간대라면 창문 가리개를 올려 시야를 확보한 뒤 바닥등과 비상구 표시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중요한 점은 승무원의 통제에 적극적으로 따라야 한다는 사실"이라며 "귀중품을 챙긴다며 선반을 열어 다른 승객들의 대피 시간을 지연시켜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해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진화 작업 |
이번 화재의 원인과 관련해선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선반 속 정체불명의 물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해당 항공기 한 승객도 "기내 수하물을 두는 선반 짐에서 '타닥타닥' 소리가 난 후 조금 있다가 연기가 났다"며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 그런 게 아닐까"라고 추측했다.
김규왕 한서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발화점이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승객 수화물로 무게가 실리는 것으로 보인다"며 "승객이 선반에 실은 보조배터리의 불량 문제로 인한 화재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찬근 한국항공대 교수도 "선반 내 수화물에서 발화됐다는 얘기도 있는데, 이것이 만약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라면 싣는 과정에서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져 불이 났을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shlamaze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