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23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2024.10.23. km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김형섭 기자 = 서민·실수요자를 위한 고정금리 정책모기지(부동산 담보 장기주택자금 대출) 상품인 '보금자리론'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로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보금자리론이 반사이익을 얻은 영향으로 보인다.
29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보금자리론 월별 공급실적은 지난해 11월 1조235억원(4446건)을 기록하며 재출시 이후 처음으로 1조원대를 넘어섰다.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인 보금자리론은 연소득 7000만원 이하(일반형 기준) 가구가 6억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3억6000만원까지 빌릴 수 있는 정책대출 상품이다.
1년 간 한시 운영되며 큰 인기를 끌었던 '특례보금자리론'이 지난해 1월말 종료된 뒤 기존 상품을 새롭게 개편해 지난해 2월 재출시됐다.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 수준도 문제였다. 재출시 당시 일반형 보금자리론의 금리는 연 4.2~4.5%였는데 당시 시중은행의 주담대가 3% 중반대여서 금리 경쟁력이 떨어졌다.
실제 지난해 보금자리론 재출시 이후 월별 공급규모를 보면 3월 3704억(1729건), 4월 3803억원(1822건), 5월 2832억원(1381건), 6월 3161억원(1536건), 7월 3031억원(1489건), 8월 3024억원(1401건), 9월 3470억원(1615건) 등으로 3000억원 언저리에서 정체돼 있었다.
그러다가 지난해 9월부터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대출 관리 조치가 취해지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보금자리론은 7월 이후 일반형 기준 연 3.95~4.25%로 동결돼 있던 반면 시중은행이 가계대출을 조이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서 보금자리론 금리에 메리트가 생겼다. 미래금리위험까지 고려한 가산금리를 부과하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가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금자리론 같은 정책대출은 DSR 산출에서 제외된다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맞춰 보금자리론 2월 금리가 0.3%포인트 추가 인하돼 당분간 그 인기는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공감언론 뉴시스 ephites@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