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04 (화)

“욕심을 너무 부렸나”…재개발 보상금 더 받으려다가 결국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개발 보상금을 많이 받으려다가 도리어 고속도로 한가운데 살게 된 한 중국 남성의 집. [사진 출처 = 엑스(구 트위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어느 재개발 지역에서 한 남성이 보상금을 더 많이 받으려다가 도리어 고속도로 한가운데 살게 된 사연이 전해졌다.

영국 일간 ‘메트로’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 남서쪽 진시의 2층 규모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황핑씨의 사연을 보도했다.

황씨는 거주하는 마을 전체가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당국으로부터 160만위안과 부동산 2개를 보상으로 제안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보상금이 너무 적다며 이사를 거부했고, 당국과 협상을 거듭한 끝에 보상으로 받을 부동산 개수를 3개까지 늘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욕심을 버리지 못한 황씨는 계속해서 추가 보상금을 요구하며 이사를 거부했고, 결국 협상은 결렬됐다. 당국은 그의 집을 좌우로 둘러싼 형태로 고속도로 공사를 시작했고, 이 도로는 올해 봄에 정식으로 개통될 예정이다.

공사로 인해 큰 소음과 먼지가 이어지자 황씨는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그들이 제시한 철거 조건에 동의했을 것”이라고 후회하며 “큰 내기에서 진 것과 같다”고 말했다. 소음을 견디지 못한 그는 11세의 손자와 함께 낮시간 대부분을 시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생의 기회를 놓친 황씨의 후회와는 별개로 그의 집은 인근에서 유명해지며 ‘포토존’으로 자리매김했다. 황씨는 최근 ‘중국에서 가장 심한 못집 주인’으로 불린다. ‘못집(nail house, dingzihu)’은 그처럼 이사를 거부해 길 한가운데 못이 튀어나온 것처럼 위치한 집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각 지역의 도시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황씨 같은 사례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이른바 ‘알박기’를 사실상 인정하지 않는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주인의 동의 없는 철거는 위법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공사에 들어간 뒤에야 수용과 보상을 시작하기에 황씨처럼 웃지 못할 일이 계속 벌어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2015년 4월에도 난닝에서 한 집주인이 철거 보상금에 불만을 품고 이사를 거부, 무려 18년째 도로 한복판에 있는 못집이 된 사례가 있다. 또 2013년 7월에는 장쑤성 쑤저우의 한 고급 빌라 단지에 남아 있던 못집의 사연이 공개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