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 맞는 6가 혼합백신 ‘헥사심’ 1월부터 국가 지원
기존 5가 혼합백신 대비 접종횟수 2회 줄어든 강점
과거 접종이력 따라 투여 가능 여부 달라질 수 있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직까지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백신은 없다는 거지?”
결혼 10년차 때 ‘딩크(DINK·Double Income No Kid)족’으로 살겠다던 결심을 깨고 출산에 성공한 C가 대뜸 전화로 이렇게 묻더군요. 뚱딴지 같이 무슨 소리냐고 물으니 C는 “출산한지 네 달 밖에 안됐는데, 한밤중에 39℃ 이상 열이 나고 묽은 변을 보는 바람에 응급실을 세 번이나 다녀왔다”며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아이가 잠든 사이 아기수첩을 펼쳐 놓고 예방접종 스케줄을 정리하다가 막막한 기분이 들어 전화를 걸었다고요.
출산 직후에 만난 지인들은 하나같이 아이의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병원을 방문하는 데 대한 고충을 털어놓습니다. 갓 태어난 아기는 결핵·파상풍·백일해·홍역·풍진 등 거의 모든 감염병에 무방비 상태나 다름 없거든요. 질병관리청이 생후 12개월 안에 예방하도록 권장하는 감염병은 16종에 달합니다. 출생 직후 맞히는 B형 간염을 시작으로 이들 질환을 각각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따로 맞힐 경우 최대 27번의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해요. 병원 방문 횟수도 그만큼 늘어나는 셈이니 맞벌이 부부에겐 여간 스트레스가 아닐 겁니다. 주위의 만류를 뒤로 한 채 출산휴가 3개월만 쓰고 복귀했던 후배 K는 병원 방문 때마다 연차를 내야 하는 상황을 견디지 못하고 두달 만에 육아휴직에 들어갔을 정도였요. 요즘처럼 독감 등 호흡기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릴 때면 가뜩이나 면역력이 약한 아기를 데리고 병원을 오가는 동안 감염병에 노출되진 않을까 하는 걱정도 큽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