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인훙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 인터뷰
"韓 최대 우려인 '북핵'…中 돌보지 않아"
尹 대통령, 잇단 '대만' 발언…내정간섭
美, '공식적'으론 북핵보유국 인정 안해
스인훙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가 베이징 하이덴구의 한 찻집에서 아주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배인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인훙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한·중 관계 발전을 가로막는 최대 장애물은 북핵 문제"로 "이로 인해 한·중 관계가 근본적으로 눈에 띄게 개선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중국 내 대표적 국제정치 전문가인 스 교수는 최근 아주경제와 가진 인터뷰에서 “북핵은 한국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근본적 중대한 '우려(關切)' 사항임에도 중국은 이를 '돌보지 않는다(不管)'”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이 고도화하고, 북한이 지난해 6월 러시아와 사실상 군사 동맹에 준하는 조약을 체결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군대를 파견하고, 한국을 적국이라고 끊임없이 선언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에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는 중국 측 반대로 2017년 2월을 마지막으로 북핵 문제와 관련해 결의·성명 등 공동 조치가 무산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한하는 것도 한·중 관계 발전에 커다란 의미가 없다고 스 교수는 평가절하했다. 그는 “APEC이 어디서 열리든 중국 국가지도자는 일반적으로 참가한다”며 시 주석의 APEC 참가를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이 이뤄진다 해도 “정상회담과 양국 관계는 ‘별개의 일(两回事)’"이라고 딱 잘라 말했다.
이어 스 교수는 “낮은 수준의 무역조차도 한국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며 “중국이 필요에 의해 한국의 목을 조이는 것을 막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2차 협상을 재개해 서비스 투자 후속 협상이 추진된다 하더라도 현재 양국 경제가 힘든 상황에서 남의 나라에 자국의 시장을 쉽게 내어주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도 그는 덧붙였다.
이밖에 트럼프 2기 대북정책이 사실상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는 쪽으로 가닥 잡히고 있다는 의견에 대해 스 교수는 “미국은 북한의 핵 보유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트럼프 1.0 시대 하노이·싱가포르 회담을 되돌이켜보면, 그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장거리 핵미사일을 포기하되, 실전이 가능한 중거리 핵미사일을 보유해야 한다고 요구했는데, 결국 협상은 결렬됐다는 것. 스 교수는 "현재 북한은 4~5년 전과 비교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기술도 크게 발전했고, 심지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까지 보유했다"며 "김정은의 요구가 과거보다 훨씬 높을 것인 만큼, 트럼프는 절대 그걸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베이징=배인선 특파원 baeinsun@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