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당적 초월해 후임에 손편지 남겨
대선 결과 승복 안 하던 트럼프도 전통 이어가
'과두제' 우려하던 바이든 손편지에 이목 쏠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게티이미지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일(현지시간) 퇴임하는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5일 대국민 고별연설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를 겨냥해 "오늘 미국에는 지나친 부와 권력, 영향력을 가진 과두제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주주의 전체, 우리의 기본적인 권리와 자유, 모두가 성공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를 드러낸 바 있다. 다만 손편지에서는 우려보다 당부의 말이 담길 수도 있다.
지난 2021년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매우 관대한 편지를 남겼다"고 밝혔다. 이듬해 발간된 감독 겸 작가 크리스 위플의 저서 '그의 인생에서의 싸움: 조 바이든의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편지는 매우 품격 있고 관대했다. 충격적일 정도로 관대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 저널리스트 밥 우드워드의 저서 '위험'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서랍에서 편지를 발견한 뒤 이를 측근들에게 보여주지 않고 자신의 주머니에 넣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당시 미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떠나며 편지를 남긴 것을 의외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결과에 승복하지 않으면서 지지자들이 의회 의사당에 난입하는 등 '1·6 폭동 사태'가 벌어진 뒤 정치적인 혼란이 계속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EPA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앞서 지난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 취임할 때도 오바마 전 대통령에게 편지를 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흰색 편지 한 통을 꺼내 보이며 "오바마가 남긴 아름다운 편지"라고 말했으나, 내용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어 "우리는 단지 이 직을 잠시 거쳐 가는 사람들"이라며 "이러한 사실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선조들이 피 흘려 싸워 지킨 법의 지배와 권력 분립, 평등권과 인권 등과 같은 민주적 제도와 전통의 수호자가 되도록 해준다"고 조언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