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쿼터 적용받는 철강, 타격 불가피…자동차 수출에도 악영향 우려
19일 산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첫 재무장관으로 내정된 스콧 베센트 지명자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관세 정책에 탄소세를 포함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탄소세 도입은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보이지만, 지난해 역대 최대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한 한국도 트럼프발 청구서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한국 철강은 미국에서 수입 쿼터제를 적용받고 있는데 탄소세까지 추가된다면 제품가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감소할 수 있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했다. 이에 한국에서 수입하는 철강 물량을 2015~2017년 3년간 연평균 수출량의 70%로 축소해 한국은 매년 263만t의 철강 수출에만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국내 주요 철강사들은 전기로 공법, 수소환원제철 등 친환경 공법 도입에도 나서고 있다. 다만 미국이 탄소 배출 등 기준을 어떻게 세우고 세율을 어떤 체계로 정할지에 따라 국내 업체들도 크고 작은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 자동차산업은 전체 대미 흑자의 약 60%를 차지하며 수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그만큼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력 타깃이 될 공산이 크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조치가 중국 자동차의 미국 시장 진입을 막아 한국 자동차업계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 미국에 수출되는 대부분의 차는 내연기관 모델인데, 탄소세가 도입되면 테슬라와 같은 100% 전기차 업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불리해져 반사이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