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 모식도. 스마트워치로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뇌 속 생체시계의 위상과 수면 단계를 추정하는 역문제 해결 수학적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카이스트 제공 |
한미 공동 연구진이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한 생체 데이터로 우울증 증상 발현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카이스트(KAIST)는 김대욱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이 대니엘 포저 미국 미시간대 수학과 교수팀과 함께 스마트워치로 수집한 활동량과 심박수 데이터를 활용해 우울증 증상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정신질환의 새로운 치료 방향으로 뇌 시상하부의 생체시계, 수면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이를 측정하려면 하룻밤 30분 간격으로 피를 뽑아 멜라토닌 호르몬 농도 변화를 측정하고 수면다원검사(PSG)를 수행해야 한다. 병원 입원이 불가피하고, 검사 비용도 늘어나는 만큼 취약계층은 이 같은 치료의 사각지대에 있다.
연구팀은 이 부분을 착안, 스마트워치로 수집한 생체시계 위상(일주기 리듬에서 특정 생리적 또는 행동적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적 위치)을 정확히 추정하는 필터링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뇌 속 하루 주기 리듬을 정밀 묘사하는 디지털 트윈을 구현한 것으로, 이를 활용해 일주기 리듬 교란을 추정할 수 있다. 또 이 가능성을 미시간대 신경과학연구소 연구팀과 협업해 검증했다.
김 교수는 "수학을 활용해 웨어러블 생체 데이터를 실제 질병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 연구"라며 "이번 연구로 연속적이고 비침습적인 정신건강 모니터링 기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수가 공동 제1 저자 및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npj 디지털 메디슨' 지난달 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KAIST 신임교원 연구지원사업, 미국 국립과학재단, 미국 국립보건원, 미국 육군연구소 MURI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