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쓰쓰이 체제’ 의미 평가
‘재계의 총리’로 불리는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 회장에 쓰쓰이 요시노부(筒井義信) 부회장(일본생명보험 회장·사진)이 내정된 것에 대한 일본 언론의 평가다. 제조업 출신 회장이 대부분이던 게이단렌 회장을 처음으로 금융기관 수장이 맡게 된 것에 담긴 의미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쓰쓰이 부회장은 도쿠라 마사카즈(十倉雅和) 현 회장에 이어 5월29일 신임 회장으로 취임한다. 도쿠라 회장을 포함해 역대 회장 15명 중 비제조업 출신은 2명에 불과하고, 금융권 출신으로는 처음이다.
과거 일본 경제는 제조업의 수출이 핵심이었다. 기업·단체 헌금은 정치적 영향력의 원천이어서 수입이 많은 제조업의 목소리가 강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해외에 생산 거점을 두는 제조업이 많아졌고, 서비스나 디지털, 콘텐츠 등의 산업 비중이 커졌다. 이 같은 변화와 더불어 게이단렌은 사회보장 개혁,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원자력 활용, 녹색경제 전환, 경제안보 등과 관련된 정책을 제안하고 정부 정책에 반영시켜 왔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