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 수습 나선 소방·군 관계자들 후유증 앓아
‘심리지원’ 있지만…상담 인력은 적어
PTSD 등 치료에 적극적이지 않은 분위기도
전문가들 “콘트롤타워·내부 상담센터 만들어야”
지난달 29일 오후 제주항공 참사가 벌어진 무안국제공항에서 소방 구급대원들이 작업복을 입고 사고 현장 주변을 수습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다가도 생각나”...여전한 참사 후유증
14일 이데일리와 인터뷰한 무안구조대 소속 이은호(41) 소방위는 지난달 29일 벌어진 제주항공 참사에 대해 “16년 근무한 이래로 이번이 가장 처참했다”고 회상했다. 이 소방위는 참사 당일부터 지난 3일까지 일주일가량 현장에서 시신을 수습하는 역할을 맡았다. 철수한 후로는 별다른 휴식 없이 다시 업무에 복귀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함께 한 팀원도 자다가도 생각난다고 하고 여전히 음식을 가릴 정도로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수습된 시신을 분류했던 무안소방서 소속 구급대원 A(34)씨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사고 첫날 투입됐던 A씨는 “쉬던 날 비행기 사고가 났다고 해 현실이라는 게 믿기지 않았다”며 “갑자기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돼 그땐 느끼지 못했지만 지금도 당시 생각이 종종 떠오른다”고 전했다.
다만 이러한 사후조치들만으로는 관리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의 한 소방서 소속 13년 차 구조대원 B씨는 “앞선 심리상담을 보면 30분~1시간 정도 대화를 한다”며 “분기마다 PTSD 교육도 받지만 교육을 딱 받았다는 느낌은 적긴 하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원 수 대비 상담 인력이 적다는 문제도 있다. 이 소방위도 “아직 한 팀(5명) 정도 밖에 상담이 안 됐다”며 “인원이 많아 상담 시간이 짧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9일 오후 제주항공 참사가 벌어진 무안국제공항에서 군 장병들이 사고 현장 주변을 수습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골든타임 한 달”...전문가, PTSD ‘집중 관리’ 역설
전문가들은 후유증 관리 골든타임으로 ‘한 달’을 꼽았다. 후유증이 한 달 이상 지속한다면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인 PTSD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병철 한림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예측하지 못한 상황 등에서 트라우마가 반복된다면 다음 구조활동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후유증을 호소하는 인원도 많다. 2023년 소방관을 대상으로 소방청이 실시한 ‘마음건강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만 2802명 중 43.9%가 PTSD, 우울증, 수면장애 등을 포함한 심리질환 1개 이상에서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전문 대응 인력에 대한 심리 지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 역시 제기된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국가트라우마센터가 있지만 지역적으로도 참사 최일선에 있는 이들에 대한 센터가 개설돼야 한다”며 “소방서, 군대 등 내부에 작게 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분 노출도 줄일 수 있을뿐더러 근거리에서 쉽게 상담을 받을 환경이 마련된다는 게 임 교수의 설명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