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7 (금)

"자다가도 생각나"…트라우마 호소하는 또 다른 사람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 수습 나선 소방·군 관계자들 후유증 앓아

‘심리지원’ 있지만…상담 인력은 적어

PTSD 등 치료에 적극적이지 않은 분위기도

전문가들 “콘트롤타워·내부 상담센터 만들어야”

[이데일리 정윤지 박동현 기자]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벌어진 제주항공 참사의 수습을 맡았던 인력들이 극심한 트라우마를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참혹한 현장에 투입됐던 인력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관리 시스템을 만들고 잠재적 위험군에 대한 지원까지도 보강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지난달 29일 오후 제주항공 참사가 벌어진 무안국제공항에서 소방 구급대원들이 작업복을 입고 사고 현장 주변을 수습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다가도 생각나”...여전한 참사 후유증

14일 이데일리와 인터뷰한 무안구조대 소속 이은호(41) 소방위는 지난달 29일 벌어진 제주항공 참사에 대해 “16년 근무한 이래로 이번이 가장 처참했다”고 회상했다. 이 소방위는 참사 당일부터 지난 3일까지 일주일가량 현장에서 시신을 수습하는 역할을 맡았다. 철수한 후로는 별다른 휴식 없이 다시 업무에 복귀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함께 한 팀원도 자다가도 생각난다고 하고 여전히 음식을 가릴 정도로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수습된 시신을 분류했던 무안소방서 소속 구급대원 A(34)씨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사고 첫날 투입됐던 A씨는 “쉬던 날 비행기 사고가 났다고 해 현실이라는 게 믿기지 않았다”며 “갑자기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돼 그땐 느끼지 못했지만 지금도 당시 생각이 종종 떠오른다”고 전했다.

소방청도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해 자체적으로 심리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심리치료 전문가 수가 한정된 만큼 상담 절차를 진행하고 필요에 따라 병원진료를 연계하는 등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남소방본부는 지난 8일부터 현장에 투입된 소방대원 전체를 대상으로 긴급심리상담을 시작하기도 했다. 심리상담사와의 1대 1 상담 후 결과에 따라 휴가나 치료를 권장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다만 이러한 사후조치들만으로는 관리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의 한 소방서 소속 13년 차 구조대원 B씨는 “앞선 심리상담을 보면 30분~1시간 정도 대화를 한다”며 “분기마다 PTSD 교육도 받지만 교육을 딱 받았다는 느낌은 적긴 하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원 수 대비 상담 인력이 적다는 문제도 있다. 이 소방위도 “아직 한 팀(5명) 정도 밖에 상담이 안 됐다”며 “인원이 많아 상담 시간이 짧다”고 설명했다.

치료에 적극적인 분위기가 정착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PTSD라는 개념이 정착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난 2022년 이태원 참사 이후로 트라우마 관리가 다소 개선된 소방과는 달리 폐쇄성을 띠는 군 조직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현직 특전사 대위인 B씨는 “심리지원은 대대~여단급 부대에 별도로 있지도 않고 한국군은 PTSD 관련 실전 경험이 적은 편”이라고 현실을 지적했다.

지난달 29일 오후 제주항공 참사가 벌어진 무안국제공항에서 군 장병들이 사고 현장 주변을 수습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골든타임 한 달”...전문가, PTSD ‘집중 관리’ 역설

전문가들은 후유증 관리 골든타임으로 ‘한 달’을 꼽았다. 후유증이 한 달 이상 지속한다면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인 PTSD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병철 한림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예측하지 못한 상황 등에서 트라우마가 반복된다면 다음 구조활동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후유증을 호소하는 인원도 많다. 2023년 소방관을 대상으로 소방청이 실시한 ‘마음건강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만 2802명 중 43.9%가 PTSD, 우울증, 수면장애 등을 포함한 심리질환 1개 이상에서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전문 대응 인력에 대한 심리 지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 역시 제기된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국가트라우마센터가 있지만 지역적으로도 참사 최일선에 있는 이들에 대한 센터가 개설돼야 한다”며 “소방서, 군대 등 내부에 작게 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분 노출도 줄일 수 있을뿐더러 근거리에서 쉽게 상담을 받을 환경이 마련된다는 게 임 교수의 설명이다.

김동욱 소방노조 사무처장도 대응 인력을 위한 콘트롤타워 마련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처장은 “사후 심리치료뿐 아니라 잠재적 위험군도 빨리 발견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출동기록과 상담기록 등 데이터를 관리해야 한다”며 “국가가 일을 맡겼다면 그에 따른 지원도 적절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