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말 많던 임시공휴일 27일로 확정…“바꾸면 더 혼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설 연휴 직전에 임시공휴일 지정하기로

가사노동 부담에…31일 더 적절 의견도

긴 휴식 보장·교통 분산·마감일 등 고려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27일이냐 31일이냐…’

적절한 시기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졌던 임시공휴일이 이달 27일로 확정됐다. 침체한 내수 경기를 살리고 명절 가사노동 부담을 덜어주려면 “31일이 더 낫다”는 의견도 힘을 얻었으나, 27일의 장점을 무시할 수 없는 데다 일자 변경에 따른 혼란은 없어야 한다고 정부는 최종 판단했다.

서울역 열차 승강장에서 귀성객 등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14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설 연휴(28~30일)를 앞둔 이달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25~26일 주말에 이어 28~30일 설 연휴까지 모두 엿새를 연달아 쉴 수 있게 된다. 31일 휴가를 신청한 직장인은 그다음 주말까지 최대 9일간 ‘황금연휴’를 누릴 수 있다.

앞서 정부·여당은 내수 부진이 장기화한 가운데 비상계엄·탄핵정국, 여객기 사고 등의 여파로 소비 심리가 얼어붙자 ‘깜짝 휴일’ 카드를 꺼내 들었다. 휴일을 늘려 소비를 진작해 침체한 내수 경기를 살리자는 취지다.

다만, 추진 과정에서는 ‘27일 선호파’와 ‘31일 선호파’가 갈리면서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정부·여당안과 달리 설을 쇤 뒤 연휴를 즐길 수 있도록 31일을 공휴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은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난 8일 자신의 SNS에 “31일이 명절을 마치고 주말까지 휴식을 취하며 가족끼리 외식하거나 짧은 외출을 다녀올 가능성도 커져 소비를 촉진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정부의 취지에도 맞아떨어진다”며 “27일은 기혼 여성의 명절 가사노동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고 명절 가사노동 부담을 가중시키고 31일에 몰리는 결제와 마감을 해야 할 사무직 노동자 부담도 키운다”면서 논의에 불을 지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SNS에 “정 청장의 의견에 백배 공감한다”고 했다.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열린 설맞이 한마당 행사가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 역시 내부 논의 과정에서 31일을 선택지에 올려놨지만, 27일의 지정 효과가 더 크다는 판단 하에 이를 최종안으로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31일이 통상 월간 업무 마감일이라는 점이 고려됐다. 일부 직원이 마감 업무에 동원되면 ‘무늬만 공휴일’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 식당 등 토요일에 꼭 일을 해야 하는 직종에도 27일 공휴일 지정이 상대적으로 긴 휴식을 보장해줄 수 있다고 봤다. 만약 31일이 공휴일이 되면 28~31일 나흘간 쉬고 2월 1일 다시 일터에 나가야 한다.

교통 분산 효과도 고려 대상이 됐다. 31일에 쉬면 27~28일 출근자와 귀성객이 뒤엉켜 교통 혼잡이 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내수 진작 효과는 휴일 수 자체는 동일하므로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

날짜에 따른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부담 증가·감소 여부는 판단하기 쉽지 않은 문제라고 봤다. 27일이 휴일일 때 며느리들이 시댁을 더 빨리 가야 해서 가사노동 부담이 늘어난다는 논리라면, 31일 역시 연장된 휴일 탓에 시댁에 머무는 기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가사노동 부담 증가에 대한 의견은 개인마다 차이가 크다”면서 “정부·여당의 첫 발표가 이뤄진 8일부터 27일 휴일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세운 분들도 있을 텐데 이걸 바꾸면 혼란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고심해서 정한 임시공휴일이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휴가 길면 국내보다는 해외로 나가는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최근 고환율·여객기 사고 여파로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면서 “특히 국내에서 소비 지출을 이끌어낼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