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요 현안 해법회의(사회1 분야)'를 주재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각 부처 국·과장급 등에 대한 인사를 본격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부 각 부처는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당시부터 승진·파견·퇴직 발생에 따라 국무총리실에 인사 필요성을 알렸고, 한덕수 당시 권한대행은 이에 '장관의 인사권을 최대한 행사하라'는 취지의 의견을 건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한덕수 당시 대행 체제 당시 지침은 최상목 대행 체제에서도 유효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정무직인 장·차관급 인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기류가 지배적입니다.
최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8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행정부 수반으로서 장관 인사는 물론이고 각 부처에 대한 인사로 공무원들 복지부동을 막고 활기찬 직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정부 분위기를 조성해 주시길 바란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 관계자는 "장·차관의 경우 인사 검증도 필요하고 인사청문회 절차도 있어 야당의 견제와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다만, 1급 인사까지는 가능할 것으로 내다본다"라고 의견을 말했습니다.
가령, 기재부의 경우 최상목 권한대행을 전담 보좌하는 '태스크포스'(TF)를 보강하면서 국장급 인사를 단행했고, 다른 국장급도 시차를 두고 인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대통령이 임명권을 행사하는 '굵직한' 공공기관장 인사는 어렵더라도 각 부처 장관이 직접 임명하는 '소규모' 기관장은 공석을 메우는 차원에서라도 인사가 단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주항공 참사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한 공공기관장 인사가 시급한 상황인데,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9개월째 공석 상태입니다.
(사진=연합뉴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