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희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교수
폐고혈압 중 3% 남짓···‘폐동맥고혈압’ 드물지만 치명적
진단·치료 기술 발전 거듭···조기 진단 시 10년 넘게 생존
전문센터에서 다학제 진료 받으면 사망 위험 32% 줄어
일본은 전국에 전담센터···한국은 다학제팀도 몇곳 안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 노래 연습을 다시 시작해 보려고요.”
서울아산병원 폐고혈압·정맥혈전센터에 외래진료를 받으러 온 서제경(가명·20대 초반)씨는 “원래 목소리가 돌아오고 숨찬 증상도 한결 좋아졌다”며 상기된 표정을 지었다.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던 서씨는 쉰 목소리가 나오고 숨이 찬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폐고혈압 진단을 받았다. 처음에는 그저 무리한 연습 탓이려니 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나아지기는 커녕 발성이 점점 어려워지고 계단 몇 개만 올라도 숨이 턱 밑까지 차올랐다.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져서야 동네 병원을 찾은 서씨는 엑스레이 검사에서 심장이 커져 있다는 소견을 듣고 부랴부랴 큰 병원을 찾았다. 심전도·심장초음파·폐기능검사 등을 거쳐 정맥으로 가느다란 관을 넣어 폐혈관의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우심도자술을 받은 끝에 폐동맥고혈압(PAH·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이 확진됐다.
◇ 치명적인 폐동맥고혈압…조기 진단 중요한데 놓치기 쉬워
세계보건기구(WHO)는 폐고혈압을 원인에 따라 1~5군으로 나눈다. PAH는 폐소동맥의 증식과 폐쇄로 압력이 증가해 ‘폐소동맥쐐기압 15㎜Hg 이하, 폐혈관 저항 2wood units 초과’로 진단되는 유형이다. 전체 폐고혈압의 약 3% 정도로 드문 편이지만 예후는 좋지 않다. 폐동맥의 병적인 변화로 혈관이 좁아지면서 폐동맥 압력이 상승하다 보면 우심실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심해지면 우심실 기능부전을 초래해 조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온라인에서 질환 정보를 찾아보고 망연자실해 있던 서씨는 주치의인 김대희(사진)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의 도움으로 약물 치료를 시작한 지 1년 여만에 증상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김 교수는 “과거 2~3년에 불과했던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생존기간은 평균 7년 정도로 크게 향상됐다. 치료를 잘 하면 10년 이상 장기 생존도 가능하다”며 “일찍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 중에는 뮤지컬 배우, 가수, 상담원 등 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분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단 조기 진단을 받고 전문가의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는 것이 전제다.
━
◇ 약물치료, 초기 부작용 심하지만···전문치료 통해 장기 생존 길 열려
━
◇ 숨은 환자 수천명···“일본 따라잡으려면 전문센터 등 정부 관심 절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교수는 “일본은 폐고혈압 전문센터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한다. 반면 한국은 전문센터는 고사하고 다학제팀을 갖춘 병원을 찾기도 어렵다”며 “약을 2가지 이상 쓰는 병합요법의 보험 적용이 막혀있거나 해외에서 활발하게 처방되는 신약이 도입조차 되지 않은 등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초기부터 전문적 치료가 이뤄지면 폐동맥고혈압 환자도 장기 생존이 가능하다. 질환 인지도를 높여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관심이 간절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