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김일성과 달리 공식 발표도 안해
주민들을 위한 뚜렷한 성과 미흡 판단한 듯
봉건적 방식 탈피해 ‘정상 국가’ 보여주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7일 ‘지방발전 20×10 정책’의 일환으로 세워진 황해남도 재령군 지방공업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생일로 알려진 8일 북한 매체들이 관련 소식을 다루지 않았다. 북한은 김 위원장 집권 이후 그의 생일을 공식화하지 않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 위원장이 황해남도 재령군 지방공업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소식 등을 보도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 생일과 관련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도 관련 보도를 내지 않았다.
북한은 김일성 전 주석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생일을 각각 태양절(4월15일)과 광명성절(2월16)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반면 김 위원장의 생일은 공식적으로 발표조차 하지 않은 상태다. 북한은 김 위원장의 생일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만 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014년 1월8일 미국 프로농구(NBA) 선수 출신인 데니스 로드먼이 “원수님(김 위원장)의 탄생일을 맞으며 북한에 왔다”고 보도했다. 당시 로드먼은 김 위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는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이 독자 우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는 추세에 비춰 올해에는 김 위원장 생일을 공식화하고 공휴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북한이 지난해 주민들의 ‘충성선서’를 기존과 달리 김 위원장 생일에 진행한 점도 이런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올해 생일도 조용히 지나가면서 김 위원장이 자신의 생일을 기념하는 데 여전히 부담을 느낀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2년 김 위원장의 집권 초기에는 젊은 나이였기 때문에 주민들의 거부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됐다. 최근에는 김 위원장이 스스로 주민들이 만족할 만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김 위원장이 내년 9차 당대회에서 국방과 경제 등 분야에서 확실한 성과를 보여주고 향후 5년에 대한 자신감이 선다면 자신의 생일을 기념일로 지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 위원장이 ‘정상 국가’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최고지도자 개인의 생일을 과도하게 부각하지 않는 것이란 분석도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개인의 생일을 기념일로 기리는 봉건적인 방식을 지양하면서 북한도 현대적인 국가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희완 기자 rose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