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中배터리 1등 CATL , 중국군 지원 '블랙리스트'에…"평판 타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해 11월 중국 푸젠성 닝더에 있는 CATL의 배터리 셀 공장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 중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업체 창신메모리(CXMT), 빅테크 기업 텐센트가 미국 국방부의 ‘중국군 지원’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당장 제재를 받는 건 아니지만, 중국과 ‘관세 전쟁’을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 명단을 근거로 더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6일(현지시간) 미 국방부는 관보를 통해 CATL·CXMT·텐센트 등이 포함된 ‘중국 군사기업’ 명단을 공개했다. 명단에는 이들 외에 오텔로보틱스(드론 제조), 퀙텔(인터넷 연결 모듈 제조), 중국원양해운 등도 추가됐다.

중앙일보

7일 중국 광둥성 선전에 위치한 텐센트 본사 건물의 모습.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국방부는 중국군이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중국 기업에 대한 명단을 작성해 관리하고 있다. 현재 명단에 포함된 기업은 총 134개다. 중국의 ‘민군 융합’ 전략에 따라 중국 기업들이 중국군의 현대화를 지원하면서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일단 미 의회는 2024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을 통해 국방부가 2026년 6월 30일부터 이런 기업들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한 상태다. 이처럼 중국 군사 기업으로 지정된다고 당장 제재나 수출 통제 등의 제약을 받는 건 아니지만, 시장에 미칠 파급력은 적지 않다. 로이터통신은 “명단에 오르면 관련 기업의 (미국 내) 평판에 타격을 줄 수 있고, 해당 중국 기업과 거래하는 미국 단체와 기업도 위협을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미 재무부에 이들 기업을 제재하라는 압박이 가해질 수도 있다.

중앙일보

지난 4일 미국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를 만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오는 20일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 이후엔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다. 중국 군사기업 명단을 만든 게 바로 지난 2020년 트럼프이기 때문이다. 미 싱크탱크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에릭 세이어스 연구원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군사기업 명단을 중국과의 단호한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 전략의 근거로 활용할 것”이라며 “명단에 포함된 회사 중 다수에 투자를 제한하고 제재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CATL에 대한 제재는 테슬라, 포드 등 CATL과 협력 중인 미 완성차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포드는 CATL과 협력해 미시간주(州)에 35억 달러(약 5조원)를 들여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이다. 로이터는 “명단 추가가 미국 내 관련 지역 의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 사이에선 “중국산 배터리에 고전하는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에 반사이익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의 관세와 제재 부과로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 밀리던 이들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단 기대다.

미 국방부의 조치에 해당 기업들은 반발하고 있다. CATL은 “이것은 착오다. 회사는 어떠한 군사 관련 활동에도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텐센트도 “우리는 결코 군사 기업이나 군수 공급 업체가 아니다”며 “미 국방부와 협력해 오해를 해소할 것”이라고 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