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올해 주택 공급 늘린단 정부… 업계 “그래도 공급량 모자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기준금리 및 건설원자재 가격 변동 추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실적 악화를 겪은 건설업계가 올해 역시 투자와 수주 감소 등으로 부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문가 진단이 나왔다. 주택 시장에선 공급 축소에 따른 혼란이 예견됐다.

7일 LH토지주택연구원은 ‘2025년 경기전망과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공공의 역할’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올해 SOC 예산은 25조4000억 원으로 전년(26조1000억 원) 대비 3.8% 감소했다. 특히 도로와 철도 부문에서 각각 9.8%와 13.6% 줄었다.

2023년부터 건설업계 유동성 악화 요인으로 지목된 부실 PF는 금융당국의 1차 사업성 평가를 거친 상태다. 유의 및 부실 우려 사업장 가운데 85%(약 10조 원 규모) 경·공매와 재구조화 방식으로 정리할 계획이나, 시장 상황과 거래 상대방 여건 변화에 따라 지연 가능성이 있다.

건설사 경영 측면에선 금리 인하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평가되나 원자재 가격 상승은 부정적 요소로 꼽힌다. 특히 최근 정국 불안정으로 환율이 크게 오르며 주요 수입 원자재가격 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건설공사비 지수는 2020년 100에서 2021년 평균 111.48, 2023년 127.90으로 3년간 28% 올랐다. 지난해 9월엔 130.4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장인석 LH토지주택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추가 금리 인하에 따라 건설사의 자금조달 비용은 줄어들겠지만, 주택 매수 부진으로 인해 대금회수가 지연되고 신규사업 추진 여력이 감소하며 업황 부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투데이

주택 공급량 변화 추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상 인허가와 준공 사이에는 평균 3년의 시차가 존재한다. 2022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주택 인허가를 고려할 때 올해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디딤돌과 버팀목 대출 등 부동산 정책 상품 대출이 55조 원 규모로 풀리며 수요는 증가하나, 대내 불확실성이 커지며 공급 정책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어서다.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하면 임대차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에 변화는 없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올해 ‘뉴:홈’ 10만 가구, 민간임대주택 13만8000가구 등을 통해 공공주택 공급량을 늘리기로 했다. 3기 신도시 분양을 모두 완료하는 한편 수도권에 약 3만 가구 규모 신규 택지도 발표할 계획이다.

장 연구위원은 “정치적 리스크보단 올해부터 현실화될 수 있는 수도권 내 주택공급 부족 이슈가 더 크게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투데이/정영희 기자 (chulsoofriend@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