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유효기간 만료를 하루 앞둔 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민주노총 주최 대통령 체포 촉구 집회가 열리고 있다. 정효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만료를 하루 앞둔 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는 며칠째 자리를 지켜온 윤 대통령 지지자들과 윤 대통령의 체포를 촉구하는 시민들이 둘로 나뉘어 집회를 이어갔다. 한 쪽에선 “윤석열을 체포하라”고 외쳤고, 다른 한 쪽에선 “추워도 오늘만 버티자”고 맞받았다.
이날 오후 관저 정문 앞은 경찰 기동대 버스 10여대가 추가로 배치되고 경찰관들이 질서유지선 앞을 교대로 지키는 등 경비가 더 삼엄해졌다. 지난 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첫 체포영장 집행 시도 이후 윤 대통령 지지자들과 윤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는 시민들이 잇따라 밤샘 시위를 벌여왔지만 체포영장 만료를 하루 앞둔 날이라 긴장감은 더 했다.
체포영장 집행을 기다려온 시민들은 오후에도 들려오는 소식이 없자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들은 공수처·경찰 등을 향해 비판을 쏟아냈다. 박지원씨(29)는 “이정도면 공수처가 의지가 없는 것은 아닌가 싶다”며 “내일까지 체포영장 기한이니 집행은 해야겠지만 경호처에서 더 강하게 반발하면 또 실패하지 않을까 회의가 든다”고 말했다. 오모씨(25)는 “시민들이 이렇게 눈 오고 추운 날씨에도 길 위에 모여 있는데 무슨 핑계를 대고 체포영장 집행을 미루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에 하루종일 눈발까지 흩날렸지만, 시민들은 자리를 지켰다. 관저에서 300여m 떨어진 일신홀 앞 탄핵 찬성 집회에서는 전날 밤 늦게까지 자리를 지키다 다시 나온 시민들과 현장에서 밤을 샌 시민들이 윤 대통령 체포·탄핵을 촉구했다. 일신홀 안에서는 밤을 새운 시민들이 은박지 등으로 몸을 감싼 채 누워 휴식을 취했다. 전날 밤 9시부터 이날 오후 2시까지 자리를 지켰다는 A씨(63)는 “이런 악몽 같은 경험을 하게 된 젊은이들에게 미안하고 함께하고 싶은 마음으로 밤을 꼬박 새웠다”며 “함께 한 시민들이 곁에 있어서 밤을 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유효기간을 하루 앞둔 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열리고 있다. 정효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대통령 지지자들도 밤샘 시위를 하며 맞섰다. 오전 루터교회 인근에서는 사랑제일교회 등의 예배가 진행됐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는 집회 인원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경찰 차량을 이동해달라며 “저기(탄핵 찬성 집회)는 열어주는 길을 우리는 왜 안 열어주냐”며 “길을 열어달라”고 요구했다.
점심쯤에는 윤 대통령 지지 집회 주최 측이 점심식사를 제공하며 “자리를 지켜달라”고 공지하는 모습도 보였다. 점심을 배급받는 줄이 50여m 늘어서 경찰이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의 통행을 안내했다. 오후 2시쯤 예배에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참여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오늘만 지키면 법이 정한 기일이 지나간다”며 “춥더라도 오늘 하루만 더 버티자”며 서로를 격려했다. 그러면서 “판사들이 정신이 나가지 않는 한 탄핵은 이미 기각”이라며 “기각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비상계엄을 완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한남초등학교 쪽 통행로를 막고 “탄핵을 반대하는 사람만 지나갈 수 있다”며 일반 시민들의 통행을 통제하기도 해 시민들이 항의하며 말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윤 대통령 체포 촉구 집회에 참여한 고덕환씨(67)는 “지금 관저 앞 현장만 봐도 충돌이 우려스럽다. 옳고 그른 것을 떠나서 자칫하면 한국도 내전 같은 폭력 사태가 벌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배시은 기자 sieunb@kyunghyang.com, 오동욱 기자 5don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