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참사의 원인 규명 작업에도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여객기가 동체 착륙한 이유에도 시선이 쏠리지만, 참사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되는 콘크리트 둔덕이 만들어진 경위도 규명돼야 할 부분입니다.
오늘은 서영일 기자가 콘크리트 둔덕을 둘러싼 책임 공방에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리포트]
무안공항 활주로 끝에 솟아 있는 콘크리트 둔덕 위 로컬라이저 시설.
2007년 공항 개항 때 설치됐는데, 재작년 보강 공사 때 30cm 두께의 콘크리트 상판이 얹어지면서 더 단단해졌습니다.
둔덕이 피해를 키웠단 지적에 국토부는 규정상 문제없다는 입장.
주종완 /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지난달 31일)
"종단안전구역을 벗어나서는 여러 가지 규정들이 적용되지 않는다. 저희 무안공항 쪽은 그런 범위 밖에 있었기 때문에 규정들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관련 업체들을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재작년 보강 공사 때 설계 업체와 감리업체는 입을 모아 '상판만 설치했다'고 답했습니다.
보강공사 설계업체 관계자
"둔덕 자체는 우리가 한 게 아니에요. 우리 업무도 아니고. 공항 개항 때부터 생겼던거를 우린 누가 했는지 모르고…."
"(초기에는) 시멘트(기둥) 위에다가 철주도 그 굵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어요. 그 밑에다가 바로 시멘트에 박아서 세웠던 거죠."
2007년 개항 당시 공사를 맡았던 금호건설은 오래된 일이라 알 수 없다는 입장이고, 공항 토목 설계 업체 역시 자신들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합니다.
토목 설계업체 관계자
"위치도 저희가 선정 안 하는 시설물을 저희가 무슨 그거를 둔덕을 알고. 그거에 관여 자체를 할 수가 없는…"
어렵사리 연락이 닿은 최초 둔덕 설계 업체 대표로부터 이유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활주로 레벨(높이)에 이렇게 맞추는 거니까 그럼 올라갈 수밖에 없지."
이 대표는 모든 진행 상황을 국토부와 협의했다고 말합니다.
A씨 / 최초 로컬라이저 시설 설계업체 대표
"같이 하는 거지 그럼, 착수 회의부터 하여튼 중간에 뭐 오면 그거 다 검수도 하고 다 해요."
콘크리트 둔덕이 아닌 땅을 메우는 방식으로 활주로 끝과 수평을 맞출 순 없었을까.
"그만큼 비용이 증가하지 않습니까? 경제성과 사업성과 안전성에 그 조합에서 균형을 찾는…"
설치부터 사고까지 17년이 지났지만, 바뀐 건 담당 기관과 관련 업체 이름뿐이었습니다.
뉴스7 포커스입니다.
서영일 기자(012@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번 참사의 원인 규명 작업에도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여객기가 동체 착륙한 이유에도 시선이 쏠리지만, 참사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되는 콘크리트 둔덕이 만들어진 경위도 규명돼야 할 부분입니다.
오늘은 서영일 기자가 콘크리트 둔덕을 둘러싼 책임 공방에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리포트]
무안공항 활주로 끝에 솟아 있는 콘크리트 둔덕 위 로컬라이저 시설.
2007년 공항 개항 때 설치됐는데, 재작년 보강 공사 때 30cm 두께의 콘크리트 상판이 얹어지면서 더 단단해졌습니다.
둔덕이 피해를 키웠단 지적에 국토부는 규정상 문제없다는 입장.
주종완 /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지난달 31일)
"종단안전구역을 벗어나서는 여러 가지 규정들이 적용되지 않는다. 저희 무안공항 쪽은 그런 범위 밖에 있었기 때문에 규정들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누가, 왜 공항 활주로 끝에 둔덕을 설치한 걸까.
관련 업체들을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재작년 보강 공사 때 설계 업체와 감리업체는 입을 모아 '상판만 설치했다'고 답했습니다.
보강공사 설계업체 관계자
"둔덕 자체는 우리가 한 게 아니에요. 우리 업무도 아니고. 공항 개항 때부터 생겼던거를 우린 누가 했는지 모르고…."
보강공사 당시 감리업체
"(초기에는) 시멘트(기둥) 위에다가 철주도 그 굵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어요. 그 밑에다가 바로 시멘트에 박아서 세웠던 거죠."
2007년 개항 당시 공사를 맡았던 금호건설은 오래된 일이라 알 수 없다는 입장이고, 공항 토목 설계 업체 역시 자신들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합니다.
토목 설계업체 관계자
"위치도 저희가 선정 안 하는 시설물을 저희가 무슨 그거를 둔덕을 알고. 그거에 관여 자체를 할 수가 없는…"
어렵사리 연락이 닿은 최초 둔덕 설계 업체 대표로부터 이유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A씨 / 최초 로컬라이저 시설 설계업체 대표
"활주로 레벨(높이)에 이렇게 맞추는 거니까 그럼 올라갈 수밖에 없지."
이 대표는 모든 진행 상황을 국토부와 협의했다고 말합니다.
A씨 / 최초 로컬라이저 시설 설계업체 대표
"같이 하는 거지 그럼, 착수 회의부터 하여튼 중간에 뭐 오면 그거 다 검수도 하고 다 해요."
콘크리트 둔덕이 아닌 땅을 메우는 방식으로 활주로 끝과 수평을 맞출 순 없었을까.
박문수 / 국토부 공항정책과장 (어제)
"그만큼 비용이 증가하지 않습니까? 경제성과 사업성과 안전성에 그 조합에서 균형을 찾는…"
설치부터 사고까지 17년이 지났지만, 바뀐 건 담당 기관과 관련 업체 이름뿐이었습니다.
뉴스7 포커스입니다.
서영일 기자(012@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