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신년 기획/K테크 현장에선] KIST, 소자 기술력으로 세계 양자기술 선도 목표…최근 오류 정정 기술로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테크'가 가야 할 길은 누구도 보지 못한 저 너머에 있다. 새로운 기술, 최고의 기술만이 높은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그 답은 현장에 있다. 조금 멀리 내다보며 기반을 다지는 연구 현장, 솔루션 구현으로 실생활에 다가서는 산업 현장 모두 중요하다. 미래 기술 '게임체인저'로 언급되는 양자기술, 우리 삶과 다양한 산업에 연관된 소재 분야 K테크의 현장을 살펴봤다. 〈편집자주〉

양자기술이 연산·통신·센싱 영역에 큰 혁신을 가져올 전망인 가운데, 연구 현장에서도 관련 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가 주목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도 그 중 하나다.

2012년 산하 나노양자정보연구센터에서 양자 암호통신 연구에 중점을 둬 시작, 현재 양자기술연구단으로 이어지고 있다. 당초 2명에 불과했던 연구 인력은 26명으로 10배 이상 늘었고, 연구도 보다 구체화됐다. 현 오상록 원장 체제에서 프로젝트매니저(PM)까지 두고 목표 지향, 국민 체감형 연구를 수행중이다.

큐비트 기반 '퀀텀 프로세싱 유닛(QPU)' 소자 구현, 각종 원천기술 개발이 주된 목적이다. 반도체 공정 기술을 이용해 세계 수준의 광자큐비트, 다이아몬드 질소공극(NV) 소자를 만들어 전체 양자기술 분야에 활용하는 한편, 각종 원천기술로 저변을 넓히는 것이다.

한상우 KIST 양자기술연구단장은 “선진국 대비 양자 기술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분야가 분명 있고, 우리나라가 강세인 반도체 인프라를 활용한 소자 분야가 특히 그렇다”며 “분야 전부는 쉽지 않지만 양자 소자 분야에서는 양자 산업 시대에 필요한 세계 최고 수준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원천기술 역시 빠르게 역량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KIST 양자기술연구단의 이승우 책임연구원이 양자 오류 정정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양자 컴퓨팅에서 가장 '핫'한 '양자 오류 정정' 분야에서 기관 이름을 알렸다.

양자 컴퓨팀이 고전 컴퓨팅을 넘어서 '양자 이득'을 얻으려면 양자 오류를 해소해야 한다. 기존에도 2진법 상 0과 1이 뒤바뀌는 '플립 오류'가 존재하는데, 양자 컴퓨팅은 오류 종류가 더 많고, 시스템 특성상 외부 영향에 취약하다. 더욱이 큐비트 사이에 오류가 빠르게 전파·누적돼 오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쌓인다.

근본 해결책이 양자 오류 정정이다. 논리 큐비트를 구성한 후, 오류 발생을 감지하고 회복시키는 식이다. KIST 연구단은 미국 시카고대와 기업 자나두, 국내 서울대와 함께 2022년부터 국제공동연구실을 운영, 세계 최고 수준 핵심기술을 확보했다.

최고 수준의 '결함 허용 임계값'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했다. 임계값은 논리 오류가 더 이상 누적되지 않도록 허용하는 최대 물리 큐비트 오류율을 나타내며, 오류 정정으로 전체 연산 오류를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는 한계 수치다.

미국의 대표적인 양자컴퓨팅 기업 '사이퀀텀'이 얽힘 광자를 이용한 '퓨전 기반 양자컴퓨팅'에서 2.7% 결함 허용 임계값을 제시했는데, KIST는 자체 아키텍처로 이를 14%까지 끌어올렸다.

연구단은 이와 별도로 '하이브리드 기반 양자 오류 정정 방법'도 최초로 개발, 주목받았다. 논리 큐비트를 만들 때 여러 물리 큐비트를 모으는 'DV', 양자 시스템 논리공간을 확장하는 'CV' 방법론이 있는데, 연구진은 둘의 장점만을 모았다. 이로써 임계값을 3배, 자원효율성은 13배 높이는 성과를 냈다.

연구를 이끈 이승우 책임연구원은 “양자 컴퓨팅이 개념 증명(PoC)을 넘어서 실제 산업에 쓰이려면 양자 오류 문제가 반드시 해소돼야 하며, 우리가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한 부분”이라며 “향후 독자적인 양자 시스템을 구현하고, 국제적으로도 기술력을 높이 인정받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