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韓경제, 정치에 발목" 44% …"경기 좋아질 것" 13% 그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2025 신년기획-위기, 대변혁 기회로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가 새해를 맞아 실시한 '2025년 국민 인식 및 여론 조사' 결과 대다수 국민이 올해 경기를 비관하고 있었다. 이 같은 인식은 내수·수출·물가 등 전통적인 경기 요인이 아닌 정치 불안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치권이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거국적으로 경제 살리기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질 전망이다.

매일경제가 여론조사기관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9~3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7%가 올해 경기가 지난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25%로 뒤를 이었고,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13%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경제중추인 40·50대에서 비관적인 전망이 가장 많았다. 40대의 63%, 50대의 64%가 각각 올해 경기가 작년보다 나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20대(18~29세)와 30대에서는 각각 42%와 56%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부울경)의 경기 전망 인식이 타 지역 대비 어두웠다. 이 지역 응답자의 60%가 올해 경기가 작년보다 좋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서울(57%), 인천·경기(57%), 대구·경북(53%) 등에 비해 높은 수치다. 부울경 지역에 주요 대기업 생산시설과 국가산업단지 등이 밀집된 터라 제조업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낮아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주를 이뤘다. 응답자의 43%가 올해 부동산 가격이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고, 하락할 것으로 보는 비중은 35%에 달했다.

응답자 10명 중 8명이 적어도 작년보다 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는 얘기다. 작년보다 오를 것으로 본 비율은 14%에 그쳤다. 지난해 9월 금융당국이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시작한 뒤 수도권 주택거래가 감소하고, 서울 강남권을 제외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한 상황이 반영된 시각으로 풀이된다.

경기 상황에 민감한 50·60대에서는 올해 주택가격을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하는 시각이 두드러졌다.

50대는 39%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답했고, 44%는 하락을 예상했다. 60대에서는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응답과 하락을 전망한 답변이 각각 44%였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50·60대는 노후 대비와 자녀 세대에 대한 부담으로 경기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세대"라며 "부동산 가격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과 대출규제 강화라는 하방 요인에 더해 경기침체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올해 부동산 가격에 대해 매우 신중한 시각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이어 "올해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아파트 공급 물량 부족이라는 가격 상방 요인이 있지만 경기침체가 닥치면 이 같은 요인은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경제의 침체 원인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44%가 불안한 정국을 지목했다. 이어 내수 침체(15%), 높은 물가(13%), 환율 상승(10%), 가계부채(8%), 수출 부진(5%)이 뒤를 이었다. 대통령 탄핵소추 등 정치 격변 상황으로 인해 경제심리가 위축됐다는 것으로 '정치가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시각을 고스란히 드러낸 것이다.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 1순위로는 응답자의 29%가 소상공인·자영업자·저소득층 지원을 통한 내수소비지출 확대를 꼽았다. 이어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와 정부의 적극적 재정 투입이 각각 21%로 뒤를 이었다. 세금 인하가 필요하다는 답변도 15%로 나타났다.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는 "경제가 어려운 만큼 재정이 역할을 해야 할 시점"이라며 "추경을 서둘러 집행하되 최소한 예년 수준은 기본이고, 올해 정부예산 감액분만큼 더해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고금리 기조가 오래 지속돼 소상공인들과 서민들의 대출 이자 부담이 굉장히 큰 상황"이라며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줘 내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은이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오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