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4 (토)

[제주항공 참사] 단계 밟는 원인 조사…"활주로 끝 구조물 부자연스러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일 국토부 브리핑 '신원확인 완료'

사고 경위 밝힐 '블랙박스' 조사중

"활주로 시설물 관련 규정 보완해야"

아시아투데이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지난달 29일 착륙 중이던 여객기의 탑승자 대부분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한 가운데 소방 당국이 수습 작업을 하고 있다. 타이 방콕을 출발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에는 승무원 6명과 한국인 173명, 태국인 2명 등 총 181명이 탑승했다. /(무안)이병화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김유라 기자 =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들의 신원확인이 완료 된 가운데, 사고 경위 조사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목이 쏠리는 건 사고를 키운 콘크리트 둔덕의 설치 경위다. 국토교통부는 앞서 해당 시설물이 무안공항 개항 당시부터 존재했으며 안전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밝혔으나, 일각에서는 시설의 위치·형태·소재 등이 적절치 않다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안전 기준을 다시 들여다보겠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1일 국토교통부는 브리핑을 열고 "금일부터 기체와 엔진 등 잔여상태, 조류 흔적에 대한 유관조사를 시작할 것" 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사고를 키운 '로컬라이저'의 설치 경위를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로컬라이저는 비행기에 착륙 경로를 안내하는 장치다. 무안공항에 설치된 로컬라이저는 하단이 단단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돼 사고 당시 비행기가 통과하지 못하고 충돌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겉면이 흙으로 덮여져 있어 육안으로 단단한 정도를 가늠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앞서 국토부는 "해당 둔덕이 안전 규정에 위배되지 않으며 무안공항 개항 당시에도 존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흙이 덮인 상태였다가 2020년 안정성을 위해 콘크리트 지지대를 보강했다는 설명이다. 해외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는 주장도 펼쳤다. 그러나 논란이 계속되자 이날 "다시 한번 보완해서 말씀드리겠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대한민국조종사노동조합연맹 관계자는 "조사가 진행중인 만큼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겠으나 활주로 끝에 단단한 구조물이 설치된 게 부자연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면서 "특히 흙으로 감싸져 있어 그 안에 단단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었을 거라고는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항 시설물에 대한 안전 규정이 미비했다면 고쳐나가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연맹 차원에서도 국제 규정 등을 들여다 볼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사고 활주로 길이(2500m)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서는 "사고 기종 여객기는 그보다 짧은 활주로에도 랜딩이 가능하다"면서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문제가 안됐겠으나 이번 사고에서는 충분치 않았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확한 사고 경위는 비행기 블랙박스인 음성기록장치(CVR)와 비행기록장치(FDR) 분석 결과에 따라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국토부는 "CVR에 저장된 자료를 1차적으로 추출했다"면서 "해당 자료를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작업을 오늘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고 당시 조종사와 관제탑이 교신하며 비상착륙에 상호합의한 사실이 이날 최초 공개되기도 했다.

제주항공은 유가족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영국 재보험 관계자가 입국해 논의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배상은 사고당 최대 10억달러(약 1조 47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운영 차질 수습과 안전관리에도 고삐를 쥐고 있다. 회사는 무안공항 폐쇄로 무산된 27편 비행의 환불 및 여정 변경을 진행한다. 또 동계기간 운영을 10~15% 감축해 안정성을 강화하고 직원 관리에 나선다.

전날 김이배 대표는 직원들에 "무어라 형언할 수 없는 슬픔과 충격에 휩싸인 유가족들에게 깊은 사죄의 마음을 가진다"면서 "해를 당하신 분들과 우리 자신을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을 해야 한다. 이 고비를 함께 극복하자"고 전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